1,165 0 0 14 0 0 8년전 0

신생활론(춘원 이광수 문제작품)

<신생활론>은 매일신보(1918년)에 발표 게재한 장편의 미완성 논문 비평으로 1926년 박문서관에서 모두 5편의 원고를 엮어 출간한 초판본 작품이다. 신생활론(유교, 기독교사상), 부활의 서광, 자녀 중심론(1918), 혼인에 대한 관견(管見) 4편을 포함했는데, 마지막 편 숙명론과 자력론은 포함되지 않았다. 서문에서 <신생활론>은 당시 매일신문지상에 연재하여 꽤 문제를 일으킨 논문으로 유교를 비판하고 기독교(예수교) 및 천도교, 불교를 비평하여 결국 매일신문사로부터 중지 요청으로 연재가 완결되지 못하였다. 이 일은 저자의 네 차례 사건 중 처음 시발점이 된 필화사건이라고 지적하였는데, 신생활론 사건에서 저자는 ‘애비없는 시골 상놈’이 되었으며, 유림(儒林)에서는 사문난적(斯門亂賊)으로 전락하고 말았다고..
<신생활론>은 매일신보(1918년)에 발표 게재한 장편의 미완성 논문 비평으로 1926년 박문서관에서 모두 5편의 원고를 엮어 출간한 초판본 작품이다. 신생활론(유교, 기독교사상), 부활의 서광, 자녀 중심론(1918), 혼인에 대한 관견(管見) 4편을 포함했는데, 마지막 편 숙명론과 자력론은 포함되지 않았다.
서문에서 <신생활론>은 당시 매일신문지상에 연재하여 꽤 문제를 일으킨 논문으로 유교를 비판하고 기독교(예수교) 및 천도교, 불교를 비평하여 결국 매일신문사로부터 중지 요청으로 연재가 완결되지 못하였다. 이 일은 저자의 네 차례 사건 중 처음 시발점이 된 필화사건이라고 지적하였는데, 신생활론 사건에서 저자는 ‘애비없는 시골 상놈’이 되었으며, 유림(儒林)에서는 사문난적(斯門亂賊)으로 전락하고 말았다고 하였다. 이글은 발표 당시 사회에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우리나라의 동양적 전통 관습에서 탈피하여 서구식 문명의 의식을 일깨우고 민족의 물질문명에 변화할 것에 대한 자각을 역설하고 있으며 유교사상과 예수교 사상, 일본의 신문화를 대표한 과학사상에서 목적을 찾으려고 하였다.
이른바 우리 민족의 변화를 강조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하였고, <자녀 중심론>에서는 가부장적인 옛 조선의 관습과 폐습에서 벗어나 자녀의 해방, 독립적 자녀교육을 따져 자녀들의 희망과 중심적 인격체로의 찬미와 완성을 강조하였다.

<서평>

<본문 중에서>

<제1장 신생활론에서>
우리의 전습 비판의 하나는 당연히 유교사상에 향할 것이외다. 조선 오백 년간 우리의 생활을 지배한 자는 유교이니까요. 방방곡곡이 공자와 맹자의 글을 외우고 사사(事事)물물(物物)에 공(孔)·맹(孟)의 도(道)를 향하여 왔습니다.

무슨 종교나 다 신과 사람에 대하는 일종 의식이 있고 그 의식은 신의 뜻으로 정한 것이라 하여 신성히 여기며 미개한 종교일수록, 미신의 분자가 많은 종교일수록 더욱 그러하며 또 종교의 분교의 폐해도 대부분 이것에서 발생하는 것이지마는, 유교는 비교적 이지적이요 미신의 분자는 적으면서도 예(禮)니 의(儀)니 하여 퍽 형식을 중히 여깁니다.

도덕이나 법률의 최고 이상은 인(仁)에도 있지 않고 오직 종족의 번식 발전에 있나니, 이것이 실로 신도덕의 선에 이르는 것이외다. 만일 인(仁)·의(義)·애(愛) 같은 덕목이 이런 선에 이르러 화합하지 않으면 악이외다.

애경(愛敬)없는 부부는 일종의 상행위(商行爲)다. 고용관계이다. 매음(賣淫)이요 간음(姦淫)이외다.
우리는 천(天)을 바라지 아니하고 신(神)을 바라지 아니하고 운수를 바라지 아니하나니, 우리에게는 오직 우리가 있을 뿐이외다. 실로 우리 손은 만물의 창조자요, 섭리자요, 변통(變通)자외다. 우리가 다 창조한 것이며 우리가 변통할 수 있고 개화할 수 있나니 장하다 우리의 주재(主宰)는 오직 우리외다.

문학에 가까운 사학은 정치학의 보조학으로 상당히 주목되었으나 이 역시 한갓 중국인의 전각에서부터 중히 여기는 중화(中華)의 사상밖에 발명한 것이 없으며 모든 공업의 기초되는 물리학, 화학 등은 실로 몽상도 못한 바외다.

과거 조선 오백 년은 실로 유교로 종시(終始)하였습니다. 오백 년간의 정치사, 제도사, 사상사, 문학사가 온통 유교라는 것을 중심 삼고 회전(廻轉)하였나니, 조선이 성(盛)하였다하면 그는 유교의 덕이요 쇠(衰)하였다 하면 역시 유교의 책임이외다.

예수교가 그처럼 속히 전파된 이유로 유교가 민족 전래의 신앙과 생각을 배제하고 거의 대신할 자를 세우지 못하여 민족이 정신적 생활의 갈망의 극도에 존재하였던 것, 그 경전이 평이한 조선글로 번역된 것, 전도의 방법과 교회의 치리(治理)가 조직적인 것을 들었습니다.

<제3장 자녀 중심론> 중에서
최근 3백여 년의 조선인의 윤리 교과서 되는 소학(小學)은 실로 효에서 시작하여 효에서 끝나리만큼 자녀를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노예를 만들고야 말려는 효의 사상을 고취하였다.

‘내 자식을 내 맘대로 하는 데 상관이 무엇이냐’하는 말은 흔히 듣는 말이요. 사실상 우리 부모가 저마다 생각하는 바라. ‘내 이들은 내 나라에 바쳤다’ 하는 스파르타식 모친의 정신은 우리의 고대 부모에게 있었는지 모르나 근대의 부모는 꿈도 못 꾸었던 것이다.

옛날 부모는 ‘내 곁에 있어라’ 하였으나 지금 부모는 ‘내 곁을 떠나라’ 하여야 한다. 떠나서 낯선 곳으로 가든지 멀리로 가든지 네가 네 새 생활을 개척하고 네 씨족의 이름을 빛내어라 함이 자녀에게 주는 훈계라야 한다. 그래서 남과 같이 살아갈 것이다.
* 이광수(李光洙)(1892∼1950)

시인, 소설가, 평론가
평북 정주 출생
오산학교 교사, 와세다 대학 철학과 수학
와세다 대학 철학과 수학, 일진회 활동
독립신문 사장, 동아일보 편집국장, 조선일보 부사장, 조선문인협회 회장
1910년 ‘소년’ 신체시 <우리 영웅> 발표
매일신보 최초 장편소설 ‘무정’ 연재 발표
대표작 무정, 민족개조론, 마의태자, 단종애사 등 다작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