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0 0 9 1 0 6년전 0

조선의 고인돌

《조선의 고인돌》은 1934년 우리나라 초기 거석문화 ‘Dolmen(고인돌)’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기술한 글이다. 조선 민속자료에 관련하여 고인돌에 대한 우리나라 처음이라 할 수 있는 소론이다. 1934년 『조선 돌멘(Dolmen) 고(考)』라는 주제로〈개벽〉에 기고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조선(특히 북한지역)에서 발견된 초기 고인돌의 실증적 채집 관련 자료와 몸소 경험한 것 등, 외국인들이 기술한 조선 관련 거석문화 자료의 실례를 들어 정리하였다. 저자는 셀 수 없이 도처에 흩어져 있던 과거 우리 거석문화의 토대와 보고 들은 역사 문화의 기초를 정립하고 입증하려 하였다. 본문은 해제와 주해를 덧붙였으며 간략하나마 우리나라 고인돌 문화의 발자취를 정리하고 고찰하는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차례> 머..
《조선의 고인돌》은 1934년 우리나라 초기 거석문화 ‘Dolmen(고인돌)’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기술한 글이다. 조선 민속자료에 관련하여 고인돌에 대한 우리나라 처음이라 할 수 있는 소론이다.
1934년 『조선 돌멘(Dolmen) 고(考)』라는 주제로〈개벽〉에 기고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조선(특히 북한지역)에서 발견된 초기 고인돌의 실증적 채집 관련 자료와 몸소 경험한 것 등, 외국인들이 기술한 조선 관련 거석문화 자료의 실례를 들어 정리하였다. 저자는 셀 수 없이 도처에 흩어져 있던 과거 우리 거석문화의 토대와 보고 들은 역사 문화의 기초를 정립하고 입증하려 하였다.
본문은 해제와 주해를 덧붙였으며 간략하나마 우리나라 고인돌 문화의 발자취를 정리하고 고찰하는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차례>
머리말
01 조선에 '돌멘'을 소개한 인물
02 내가 본 평안도 지역의 돌멘
03 돌멘의 명칭과 전설·신앙
04 오거석개분묘(五巨石蓋墳墓)
05 돌멘을 만든 목적과 민속학적 의미
06 참고자료
남한지역의 고인돌 문화재 자료(문화재청)
참고문헌
*손진태(孫晉泰)(1900~?) 호 남창(南滄)
역사학자, 민속학자
부산 출생
일본 와세대대학 역사학과 졸업
연희전문학교, 보성전문학교, 서울대 교수
납북
대표저서: 조선민요집(1929)(일어판), 조선신가유편(朝鮮新歌遺篇), 조선민족사 개설(1948) 등 다수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