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 0 0 2 1 0 1년전 0

조선 유학의 대관

•원제: 《일선사화(日鮮史話)》(1928) 제3편 조선총독부 刊/조선 유학의 대관(朝鮮儒學の大觀)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조선 연구자들이 간과하고 있는 사항들에 대해 눈앞의 관점을 서술한 것이다. 이 글들은 원래 감흥을 돋구기 위해 자발적으로 쓰였으며 각 제목은 서로 연결되거나 연대순으로 나열되지도 않고 종종 중복되는 점도 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확신할 만한 사서나 문집 따위, 그리고 답사에서 얻은 수필에 지나지 않는다. 《일선사화(日鮮史話)》라는 제목으로 조선을 이해하는 사람들의 참고로 삼을 수 있다면 매우 기쁘겠다. <서문 중에서> 조선 유학이 지나(支那)에서 전래한 경로에 관하여 비록 막연하지만 이러한 설도 있다. 삼국립시대, 북방 고구려 제13대 소수림왕(일본 인덕仁德천황 63년) 때 ..
•원제: 《일선사화(日鮮史話)》(1928) 제3편 조선총독부 刊/조선 유학의 대관(朝鮮儒學の大觀)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조선 연구자들이 간과하고 있는 사항들에 대해 눈앞의 관점을 서술한 것이다.
이 글들은 원래 감흥을 돋구기 위해 자발적으로 쓰였으며 각 제목은 서로 연결되거나 연대순으로 나열되지도 않고 종종 중복되는 점도 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확신할 만한 사서나 문집 따위, 그리고 답사에서 얻은 수필에 지나지 않는다. 《일선사화(日鮮史話)》라는 제목으로 조선을 이해하는 사람들의 참고로 삼을 수 있다면 매우 기쁘겠다. <서문 중에서>
조선 유학이 지나(支那)에서 전래한 경로에 관하여 비록 막연하지만 이러한 설도 있다. 삼국립시대, 북방 고구려 제13대 소수림왕(일본 인덕仁德천황 63년) 때 이미 대학(大學) 조직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백제의 대학은 아무도 모르지만, 제12대 근초고왕 때 박사 고흥(高興)을 넘겨받아 문학의 발전에 기여했다고도 전해진다. 조선 유교에서 주자학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충렬왕 시대부터 시작되었고 안유(安裕)를 효시로 하지만, 그로부터 거의 620여 년 동안 고려와 이조를 통하여 다른 이학(異學)은 전혀 도입되지 않았다.<본문 중에서>
*마츠다 코우(松田甲)(1864~1945)
일본 측량 기술자, 한(漢) 시인, 저술가
일본, 대만, 난칭, 몽고, 조선 등지에서 측량에 종사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기사
저서 《일선사화(日鮮史話)》, 《조선잡기(朝鮮雑記)》 등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