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 0 0 0 0 1일전 0

2000년에서 온 손님

저본: LOOKING BACKWARD From 2000 to 1887(1888) 사회 이상향에 대한 고찰, 1887년에서 2000년으로의 시간 여행!! 1887년에 살던 부유한 신사 줄리안 웨스트가 113년 후인 2000년으로 갑자기 깨어나 완전히 달라진 사회를 경험하는 이야기다. 19세기 인물이 2000년 미래 사회주의 유토피아에서 깨어나는 내용으로 출판 후 수년 내에 100만 부 이상 판매된 고전 베스트셀러이다. 1887년에 잠들어 113년 후인 2000년에 깨어난 주인공 줄리안 웨스트, 이 책은 당시 성경과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 이어 미국에서 세 번째로 많이 팔린 책으로 기록되었다. 그는 리트 박사의 집 지하에서 발견되어 그의 안내를 받으며 20세기 사회를 경험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줄리안은..
저본: LOOKING BACKWARD From 2000 to 1887(1888)
사회 이상향에 대한 고찰, 1887년에서 2000년으로의 시간 여행!!
1887년에 살던 부유한 신사 줄리안 웨스트가 113년 후인 2000년으로 갑자기 깨어나 완전히 달라진 사회를 경험하는 이야기다. 19세기 인물이 2000년 미래 사회주의 유토피아에서 깨어나는 내용으로 출판 후 수년 내에 100만 부 이상 판매된 고전 베스트셀러이다. 1887년에 잠들어 113년 후인 2000년에 깨어난 주인공 줄리안 웨스트, 이 책은 당시 성경과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 이어 미국에서 세 번째로 많이 팔린 책으로 기록되었다. 그는 리트 박사의 집 지하에서 발견되어 그의 안내를 받으며 20세기 사회를 경험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줄리안은 리트 박사의 안내로 새로운 보스턴의 모습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굴뚝과 연기가 사라진 깨끗한 환경, 넓고 아름다운 거리, 웅장한 공공건물들이 그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과거 그가 알던 상점과 은행들은 자취를 감추었다.
이 새로운 사회는 국가가 모든 생산과 분배를 책임지는 체제로 재편되었다. 화폐는 폐지되고, 모든 시민에게는 국가 생산량에 따른 동일한 크레딧 카드가 지급되어 공공 상점에서 필요한 물품을 자유롭게 취할 수 있다. 노동 체계도 혁신적으로 변화하여, 모든 시민은 '산업 군대'에 일정 기간 복무한다. 중요한 것은 노동의 가치가 동등하게 평가되며, 개인의 재능보다 '노력'의 정도가 중시된다는 점이다. 이로써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불만이 최소화한다. 정치 제도는 대폭 간소화되어 정당이나 정치인이 존재하지 않으며, 정부는 국가 산업의 효율적 운영과 국민의 기본적 필요 충족에 집중한다. 전쟁과 군사 조직이 사라지고, 세금 징수도 불필요해졌다.
새 시대의 문화적, 도덕적 변화도 눈에 띈다. 보편적 교육으로 시민들의 지적 능력이 향상되었고, 사회적 평등의 실현으로 빈곤으로 인한 범죄, 탐욕, 속임수가 대부분 사라졌다. 남녀관계는 완전한 평등을 기반으로 하며, 여성들은 경제적 독립을 통해 자기의 삶과 직업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줄리안은 새로운 세계에 적응하며 리트 박사의 딸 에디스와 사랑에 빠진다. 흥미롭게도 에디스는 줄리안이 19세기에 약혼했던 여인의 증손녀로 밝혀진다.
이 작품은 단순한 미래 상상을 넘어, 당대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근본적 변화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작품이다.
*에드워드 벨라미(Edward Bellamy)(1850~1898)
미국 작가, 저널리스트, 사회 운동가
독일 대학에서 유학 법률 공부
국가 사회주의(State Socialism) 지지
‘내셔널리즘(Nationalism)’ 운동 창시
당시 미국 전역에 160개 이상의 「내셔널리스트 클럽」 형성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유토피아 문학 붐에 기여
주요 작품 『평등(Equality(1897)』, 『스톡브리지 공작(The Duke of Stockbridge)(1879)』, 『하이덴호프 박사의 과정(Dr. Heidenhoff's Process(1880) 등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