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황공의 최후

심훈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30 6 0 1 2018-07-16
『황공(黃公)의 최후』는 1936년에 기고한 단편소설이다. 주인공은 도시를 떠나 시골로 내려와 흥미 있는 일이 없이 심심하고 지루한 시간을 보내는 중, ‘개(사지)(황공)’를 만나서 벌어지는 인간 본능의 애착과 강렬한 심적 상황, 주변 사람들과의 각축장으로 벌어지는 삶의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비극적 인간미를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운명에 놓인 ‘사지’와 사람들의 인간 본성 모순성은 결국 피폐해진 현실적 비도덕성과 비도덕적인 것에 저항하는 삶의 실전적 의식을 반영하였다. <목차> 본문 • 황공(黃公)의 최후

호수의 여왕

방정환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40 12 0 1 2018-07-16
『호수의 여왕』은 1922년 발표한 ‘아나톨 프랑스 원작’ 소파 방정환의 프랑스 번역동화로 몇 개의 번역 동화작품 중 하나이다. 원문은 현재 맞춤법에 적용하여 표기하였다. 본문 1 2 3 4 5 6

동학란의 숨은 기록

차상찬 | 온이퍼브 | 2,500원 구매
0 0 397 16 0 3 2018-07-14
『동학란의 숨은 기록』은 갑오년 동학란의 시작과 전개과정, 결론에 이르기까지 전봉준의 활동 비록을 간략히 적은 것은 것이다. 동학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물론 누구나 그 뜻을 알지 못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뒤에 난리를 지내고 나니, 이른바 이전의 노래는 아랫녘인 충청, 경상, 전라도인 전주 고부(정읍)에서 전녹두(綠荳)(전봉준의 다른 이름) 고부에서 동학란을 일으켰다. 이에 외국 청나라 병사에게 패배하였다는 의미이다.<본문 중에서> <목차> 본문 제1장 이상한 동요의 유행 제2장 이상한 재앙 제3장 동학당과 대원군 제4장 하늘에서 내려온 붉은 옷의 소년 제5장 대포 구멍에서 물이 나옴 제6장 양반의 모욕 제7장 신출귀몰한 동양의 첩자 제8장 전주성..

조선 사람 우뚝

최남선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309 7 0 1 2018-07-12
『조선 사람 우뚝』(원제: 우선 사람 웃둑)은 어린이 동화로 저자는 《소년(1908)》을 비롯하여 《붉은 저고리》, 《아이들 보이》, 《새별》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여러 어린이 잡지를 발간하였다. <목차> 본문 • 조선 사람 우뚝

조선의 꽃타령

차상찬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323 15 0 1 2018-07-12
『조선의 꽃타령』은 단편 잡지 기고문으로, 우리나라 대표 꽃으로 일컫는 9가지를 선별하여 원산지에 담긴 정서와 소견, 시구를 통해 대표할만한 우리 꽃의 진정한 정의를 조망하였다. <목차> 본문 • 조선의 꽃타령 제1장 이름난 꽃 팔도 진달래 제2장 동해안과 서해안의 해당화 제3장 홍도화(紅桃), 벽도화(碧桃)의 세 가지 복숭아꽃 제4장 영유(永柔) 배꽃과 춘천 배꽃 제5장 벚꽃과 사쿠라 제6장 개성 진봉산과 남한산성 철쭉 제7장 할미꽃 참고문헌(이미지)

여우목도리

심훈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301 7 0 1 2018-07-10
『여우목도리』는 1936년 신문지상에 기고한 단편소설이다. 주인공 ‘최 군’은 고용직 공무원인 박봉 월급으로 근근이 사는 평범한 가정의 남편이다. 변변치 않은 부인은 전근대적 지순한 여성이지만, 남편은 이제껏 그에게 단 한 번도 특별히 챙겨준 것이 없었다. 하지만, 부부는 결혼기념일에 맞추어 쇼핑하면서 벌어지는 근대화되어가는 과정의 넉넉지 못한 사람들의 삶의 애환과 부부애, 물질만능주에 편승한 풍조 분위기를 신랄하게 지적하였다. 본문은 원문 그대로 적었으며 일부는 맞춤법에 따랐다. <목차> 본문 • 여우목도리

춘소산필(春宵散筆)

심훈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304 8 0 1 2018-07-09
『춘소산필(春宵散筆)』은 1928년 신문지상에 기고한 단편 수필이다. ‘춘소(春宵)’는 춘야(春夜)를 가리키는 봄철의 밤을 뜻하는 것으로, 전반부에 중국 송나라 문필가인 왕안석 춘야(春夜) 시구를 앞세워 봄밤의 정취를 향수하는 회한의 심정으로 묘사하고 있다. 현실적인 시국의 고뇌는 모든 것의 단절과 함께 아픔의 심정을 토로하는 것으로 결국엔 고향에 회귀하려는 것에 희망적 해답을 찾으려는 의지의 노력이었다. 본문에서 언급했듯이 “이 땅에도 봄은 오려나!”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은 원문 그대로 적었으며 일부는 맞춤법에 따랐다. <목차> 본문 • 춘색뇌인면부득(春色惱人眠不得) • 교통차단(交通遮斷)

맹자와 사회사상

손진태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70 17 0 1 2018-07-06
중국의 역사는 이 종족적 군소국가로부터 점점 봉건적 귀족국가로 발전되었다. 이렇게 발전된 것이 소위 춘추열국시대이며, 그 가장 활발하고 화려한 시대가 전국시대이었다. 맹자의 본질적 철학사상에 관해 간략히 기술한 것으로 정신적 이론가며 사상가인 그의 유가의 정치적 윤리를 제시하였다. <차례> 제1장 맹자와 그 시대 제2장 맹자의 인격 제3장 이단(異端) 배격 제4장 귀족정치 배척 제5장 이상(理想) 제왕과 이상(理想) 정치 제6장 평화주의 제7장 민본사상과 혁명사상 제8장 군신(君臣) 윤리와 천자(天子)사상 제9장 가족윤리 제10장 인간 무차별 사상 제11장 사관(仕官)주의 결론

남부의 모내기 노래

송석하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301 10 0 1 2018-07-07
《남부의 모내기 노래》즉 ‘이앙가(移秧歌)’란 어떠한 노래인가? 이 글은 농요(農謠)라고 할 수 있는 속요의 일종인 ‘이앙가(移秧歌)’이다. 농부들이 농사일이나 모내기 등을 하며 부르는 민요조 속요(俗謠)이다. 농민들이 농사일을 하는 데 있어 힘을 북돋운다든가 더욱 힘쓸 것을 강조하며 흥을 더욱 자극하는 노래로 공동으로 상부상조하며 농사일을 더욱 흥취가 나도록 한다. 시간마다 각각 특수성을 가지며, 아침참을 먹을 때나 점심때, 점심참을 먹을 때나 저녁때, 이와 같이 각각 다른 소리가 있다. 생활의 깊이가 묻어있는 농부들의 정서와 감흥을 생활 속에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남부지방에서 주로 일반적이며 농촌 생활을 그대로 묘사하듯 그려 보이는 서정적이고 소박함을..

우리나라 성씨

이중화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65 15 0 1 2018-07-08
제1장 성(姓)의 기원 제2장 성씨의 쓰임새 제3장 고대 인물과 혁거세의 성씨 제4장 지명의 유래와 의미 제5장 지명과 사람의 다른 이름 제6장 성씨의 종류와 변천 제7장 성씨별 가구 수 <부록> •朝鮮の姓(조선총독부)(1939년) 성씨 지역 순위별 분포수/전국의 성씨 분포도 •참고문헌(이미지)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