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장승

김성칠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67 13 0 1 2018-07-05
『장승』은 무엇이며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장승은 호남이나 영남지방에서는 ‘벅수’라고 부르는 곳이 있으며, 평안도 희천(熙川) 지방의 석비 장생(長栍)은 그 석면에 장생이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다. 그런데도 마을 사람들은 ‘미륵’이라고 부른다.(본문 중에서) 이 글은 ‘장승’에 관한 단편 기고로 간략히 장승의 시작과 형태 및 의의를 통해 지금은 거의 잔재만이 있고 사라진 민속 문화를 재조명하였다. 전체적으로 본문은 맞춤법과 함께 주해를 달아 풀이 하였다. <차례> 제1장 장승의 기원 제2장 장승의 명칭 제3장 장승의 기능 제4장 세 가지의 장주 제5장 수살대(水杀竿) 제6장 이정(里程) 장생(長栍)의 사례 참고문헌(이미지)

창변(窓邊)

노천명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396 35 0 1 2018-07-06
『창변(窓邊)』은 저자의 처녀작 ‘산호림(1집)(1938)’ 이후 두 번째 시 작품집으로 1945년 매일신보사에서 발간한 초판 시집이다. 모두 29편을 담았으며 자신의 소박한 모습과 함께 외로움과 슬픔을 섬세함으로 묘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본문은 원문 그대로 훼손되지 않도록 하였다. <차례> • 길 • 망향(望鄕) • 남(男)사당 • 작별(作別) • 푸른 오월(五月) • 첫눈 • 장미(薔薇) • 소녀(少女) • 새달 • 묘지(墓地) • 저녁 • 한정 • 수수 깜부기 • 촌경(村景) • 잔치 • 추성(秋聲) • 여인부(女人賦) • 향수(鄕愁) • 돌잽이 • 춘향(春香) • 창변(窓邊) • 춘분(春分) • 동기(同氣) • ..

시드러가는 무궁화

진우촌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316 7 0 1 2018-06-21
《시드러가는 무궁화》는 1923년 신문사 투고 ‘희곡 단편 당선작(2등)’으로 일제강점기 가난한 소작농인 농민들 삶의 애환, 일제에 의해 수탈당하고 착취당하고 가난에 시달리는 현실적인 삶의 세태를 그리고 있다. 이를 통해 사치와 탐욕, 위선에서 벗어나 새로운 절약성과 조선의 물산장려운동을 각성하고 권장하는 내용이다. 원문은 그대로 살렸으며 방언, 비속어 등은 그대로 적었고 되도록 현재 맞춤법을 따랐다. <목차> 등장인물과 장소 • 1막 시골 어느 길가 솔밭

개혁

진우촌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25 6 0 1 2018-06-19
《개혁(改革)》은 1923년 신문사 투고 ‘희곡 단편 당선작(賞乙)’으로 일제강점기 도시의 한 가정에서 벌어지는 청년문학가(도상)와 춘월(여자 종)과의 혼례 문제를 다룬 내용이다. ‘도상’은 사회 현실을 극복하려는 이성 문제적 의지를 통해 신분을 탈피하고 계층의 혼례관념에 대한 개혁과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한 가문의 전통적 관례를 고수하려는 부모와 신식 결혼관의 주제 의식으로 하는 비판적 성격을 계몽하는 성격으로 묘사하였다. 원문은 그대로 살렸으며 방언, 비속어 등은 그대로 적었고 되도록 현재 맞춤법을 따랐다. <목차> 등장인물과 장소 • 1막 인천 김승지 집

우리나라 연극의 기원

송석하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433 13 0 1 2018-06-18
문헌상으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 연극은 어떤 형태이었는가? 연극은 우리나라 연극 특색의 하나인 무용(舞踊)을 많이 포함한 것이었다. 어느 나라에서든지 그러한 고대극에 가장 많은 형식인 가면극(假面劇)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종류가 등장한다. 이 책은 희곡의 원시적 문화에서 지금까지 전해오는 놀음놀이인 연극 예술에 관해 변천 과정을 간략히 서술한 책이다. 민속학자인 송석하는 이른바 우리나라 민속에 관한 실증적 토대로 접근을 시도하였고 여러 편의 저서를 발간하였다.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전해오고 분포돼있는 우리 전통 민속놀이 중 일부 유형문화재의 가치를 소개한 것은 중요한 시도라고 할 수 있겠다. <차례> 제1장 연극의 시작 1. 삼국 시대 2. 고려 시대 3..

두뇌수술(진우촌 대표 희곡)

진우촌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340 8 0 1 2018-06-16
《두뇌수술(頭腦手術)》은 해방공간의 희곡으로 모두 3막의 구성 작품이며, 의학적 수술로 점철되는 가공의 상상할 수 없는 그로테스크를 통해 벌어지는 시대적 특수성을 발휘하는 스토리이다. 이 작품은 저자가 원제 ‘망향(望鄕)’으로 처음 ‘자유극장’에서 상연된 이후 본 ‘두뇌수술’ 작품으로 기고하였다. 원문은 그대로 살렸으며 용어, 방언, 비속어 등은 그대로 적었고 되도록 현재 맞춤법을 따랐다. <목차> 등장인물과 장소 • 3막 제1막 오영호의원 치료실 제2막 오영호의원 치료실 제3막 오영호의원 치료실

명절과 전설

김태준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399 23 0 1 2018-06-12
머리말 제1장 초하룻날(初一日) 1. 연하장 2. 일월신(日月神) 3. 복(福)맞이 4. 설날 밤 5. 오행점(五行占) 6. 널뛰기 제2장 7일 제3장 상해일(上亥日) 1. 횃불싸움 제4장 15일 1. 오곡잡 2. 처용무 3. 보름실 4. 석전(石戰)과 줄다리기 5. 답교(踏橋) 6. 기타 참고문헌(이미지)

우리나라 여인의 머리모양

이여성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328 16 0 4 2018-06-07
우리나라 여성들의 머리 모양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이 책은 고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머리 모양에 관해 간략히 서술한 글로 우리나라 머리 변천사를 일부나마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는 《조선복색원류고(朝鮮服色原流考)(1941)》와 ‘고분벽화’ 등을 통해 조선의 복식 등도 소개하였다. 이 글은 갖가지 모양의 머리 형태 근간은 어디에서부터 어떤 모습을 하게 되었는지, 삽도와 함께 설명하고 정리하여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또한 최초 우리나라 머리 스타일의 역사를 본질적으로 발원을 제시하였다. <차례> •우리나라의 여러 머리 모양 •중국 청나라 머리 모양 •일본의 머리 모양 머리말 제1장 고구려의 머리 풍속 제2장 신라의 머리 풍속 ..

우리나라 화폐의 기원

유자후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672 23 0 1 2018-06-05
우리나라의 화폐 기원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이 책의 한한자 유자후 선생의 조선 화폐(보화)에 관해 간략히 정리한 글로, 상고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등장했던 일종의 ‘화폐’라고 볼 수 있는 것의 일부를 소개한 글이다. 저자는 이미 수년 전 『조선화폐고(朝鮮貨幣考)』(1940년 학예사 刊)를 통해 우리나라 화폐의 방대한 양을 체계적으로 분류 정립한 적이 있다. 화폐의 근원을 따라 현재까지 잊히고 사라진 역사의 연구라고도 할 수 있는 화폐를 고찰한 한 인물로 화폐연구의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이 글은 그가 고대에서 현재까지 일부 조선 화폐의 근간을 총론으로 정리한 것이며, 우리나라 화폐 시작을 본질적으로 그 발원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선 여배우의 시작

안석영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97 11 0 1 2018-06-03
《조선 여배우의 시작》은 우리나라 초창기 예술 분야의 영화나 연극 무대 등에서 활동했던 일부 여배우에 관해 소개한 간략한 글로 「춘추(春秋)」지에 소개되었다. <목차> 제1장 조선 여배우의 기원 제2장 마쓰이 스마코(松井須磨子)와 이월화(李月華) 제3장 이월화의 전성 시기 제4장 이채전(李彩田)의 비애 제5장 이후의 여배우들 일제강점기 여배우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