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배뱅이굿 이야기

유인만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56 9 0 1 2018-05-16
《배뱅이굿 이야기》는 ‘배뱅이’라는 한 여자아이를 통해 빚어지는 해학적 요소를 담고 있는 설화적 이야기로, 배뱅이굿은 가요라기보다 일종의 창극(唱劇)으로 주로 무녀의 신가(神歌)와 탁발 승려들의 염불이나 산 염불 등을 재료로 꾸민 것이다. 내용은 당시 민간사회의 한 모습을 여실히 나타내며, 무당과 박수(巫覡)와 승려의 미풍 따위가 무너져 엉망이 된 행동을 재미있게 풍자하여 한번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푸념과 넋두리 등으로 비롯되는 배뱅이굿의 근간은 ‘서도소리’, 이른바 황해도와 평안도를 주축으로 형성되어, 지금까지 익살과 재치를 부리며 재미있게 이야기하는 민요로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1984년)로 지정되었다.

금융 용어 해설

편집부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728 21 0 1 2018-05-16
《금융 용어 해설》은 중소기업은행에서 분야별 정리한 ‘퇴직연금 및 금융 용어’에 관련한 정보 360여 개를 해설 총정리하였다. <목차> 제1부 A-Z 제2부 가 제3부 나 제4부 다 제5부 라 제6부 마 제7부 바 제8부 사 제9부 아 제10부 자 제11부 차 제12부 타 제13부 파 제14부 하

혈장미(血薔薇)

김내성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306 10 0 1 2018-05-14
《혈장미(血薔薇)》는 《문예》 창간호에 연재 기고한 것으로 원제는 《사상의 장미》(전편 ‘원고 사상의 장미’》 의 일부분으로 일부 국내 잡지에 소개하다 미완으로 마쳤다. ‘사상의 장미’ 자서(自敍)에서 저자는 ‘1936년 봄에 일본 유학시절에 학교를 마치고 결혼을 했을 때 일본어로 제작된 작품으로 기타 일어 작품인 《운명의 거울》과 《가상범인》에 뒤를 이어 집필한 최초의 장편 소설이다. 그러니까 제작 순서로 보면 세 번째 작품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 작품은 수십 편 추리 가운데 대표작으로 불리는 《마인(魔人)》과 맥을 같이하는 작품이며, ‘저자는 자서(自敍)에서 작품이 어떠한 동기에서 《사상의 장미》가 그 분류사적인 입장으로 보아 탐정소설로서 볼 것이냐 소설로서 볼..

서양요리법

경성서양부인회 | 온이퍼브 | 10,000원 구매
0 0 496 33 0 1 2018-05-09
처음 우리나라에 소개한 영·한글 서양 요리책 !! 《서양 요리법》(원제: 션영(鮮英)대조 서양료리법, The Seoul women’s club cook book)(경성서양부인회 편)(조선예수교 발행)은 1930년대 군예빈(쿤스)(君芮彬. E.W.Koons) 선교사 부인(Floy D. Koons)들을 중심으로 교회와 사회사업을 위해 구성된 여성단체인 ‘경성서양부인회’에서 국내에 처음 발간 소개한 영어와 한글로 병용 표기 제작한 ‘서양요리 지침서’이다. 서양요리를 23가지 부류로 구분하여 해당하는 수백 가지 요리 레시피와 재료를 자세히 소개하였다. 원문은 본래 도쿄의 가정문제클럽이 펴낸 ‘일본 가정 경제’의 요리법을 대부분 인용하였으며, 한글 번역은 당시 캐나다 선교..

의례준칙과 그 해설(조선총독부 제정)

초선총독부 | 온이퍼브 | 10,000원 구매
0 0 390 51 0 3 2018-04-28
《의례준칙과 그 해설(조선총독부 제정)》은 1934년 11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우리나라 혼례(婚禮), 장례(葬禮), 제례(祭禮)의 의식적 풍속, 절차, 현황을 통해 잘못된 의례를 간소화하고 자세히 개선책을 마련 반포한 ‘가정의례규정집’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조선 총독 인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는 서두에서 구두로 하는 훈계 중 ‘각종 의례 중 번거롭고 까다로운 규칙과 번잡함이 있고 인습적으로 폐단이 많으니, 위 세 가지 가운데 우선 긴급한 개혁이 필요한 것을 이 준칙으로 하여 지방 직무에 가장 관내 실정에 맞추고, 다시 이를 지방화에 노력하도록 하여 여러 해 적폐를 없애려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국민들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협심 진력하여 서로 힘을..

사계의 조선요리

스즈키 쇼유텐(鈴木商店) | 온이퍼브 | 9,000원 구매
0 0 311 105 0 1 2018-04-17
처음 소개하는 일본인이 지은 우리나라 음식 고전 요리책 !! 《사계의 조선요리(四季の朝鮮料理)》는 1925년 일본어판 도쿄할팽여학교(東京割烹女学校)에서 집필하여 스즈키 쇼유텐(鈴木商店)사에서 처음 발간되었다. 이후 개정 초판 1933~1934년에 개정 증보되어 아지노모토(味の素) 주식회사 스즈키 쇼유텐내외요리출판부에서 출간하였다. 또한, 해방 이후에 다시 1946에 같은 내용으로 한글판 조선문화건설협회에서 출간되었다. 조선요리 가운데 97종, 서양요리 11종에 관한 재료와 레시피를 자세히 소개하였다. 특히 이 책의 종류별 조리법 마지막 과정에서 아지노모토를 첨가하는 것으로 레시피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아지노모토를 널리 홍보하고 알리려는 스즈키 쇼유텐의 ..

종루와 보신각종

이중화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329 12 0 2 2018-04-11
서울 한복판 종루(鐘樓)와 보신각종은 어떠한 역사적 발단이 있었나? 이 책은 《조선의 궁술(弓術)》의 저자인 국어학자 이중화의 단편 기고문으로 1934년 창간 이래 ‘진단학보(震檀學報)’ 6호 <종루와 보신각종>을 해제한 것이다. 종루(鐘樓)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화재 등 뜻밖의 온갖 수난을 겪은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문화재로 현재 보신각 건물은 1979년 지었으며 동서 5칸의 2층 누각으로 만들어졌다. 보물 제2호인 보신각종은 이 글 본문에서『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유사(攸司)에게 큰 종을 주조하여 도시 한가운데 종각을 만들고 종을 달았다고 한 것처럼 처음에 각(閣)을 건조했던 것을 세종 때(1450)에 층루(層樓)(누각)로 구조를 다시 구축해 그 위에..

술 담그는 법

이용기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883 22 0 1 2018-04-05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은 1924년 한흥(韓興)서림에서 초판 발간한 것으로 위관(韋觀) 이용기(李用基)가 지은 요리책이다. 이 책은 고전의 우리나라 음식 종류를 상차림에서부터 가정생활에 꼭 필요한 음식 분류별 60여 가지 조리방법과 <밥 짓는 법>에서 <서양요리 만드는 법>까지 절차별 조리법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여기에서는 <술 만든는 법>만을 수록 해제하였다.

우리나라 꽃의 기원

유자후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326 18 0 1 2018-03-28
우리나라의 국화(國花)는 어떠한 꽃이며 어떤 기원에서 시작되었는가? 이 책의 시작은 본질에서 고대 단군 조선의 탄생에서부터 그 발원을 가지고 있다. 국화(國花)라는 것은 민족의 나라꽃이며, 국가를 대표하는 꽃이며, 나라의 전통 꽃을 말한다. 고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많은 아름다운 꽃들이 많으나, 그 가운데 가장 훌륭한 것으로 생각되고 가장 좋은 것으로 소중히 으뜸으로 삼는 꽃이다. 이 글은 저자의 《국화보(國花譜)》에 대한 기고 글로 고전에 나타나 있는 국화와 그에 역사적 기록을 고증을 들어 일부나마 채집 수록한 것이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우리나라 국화에 대한 기록을 어떠한 문헌과 전해오는 문헌에도 전혀 구할 수 없다’고 하였다. 부족하지만 지금이라도 국가의 ..

항민(巷民)

김남천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41 12 0 1 2018-03-23
《항민(巷民)》은 1939년 조선문학 잡지에 기고한 것으로 주인공 청년 ‘이학구’와 그를 둘러싼 한 가정을 중심으로 세태적 삶의 애환을 묘사한 작품이다. 하지만 가정에의 화목함과 단란한 모습은 없고 변변치 못한 아버지와 딸 ‘수향이(기생)’이라는 신분으로 전락한 보잘것없는 존재로 사건의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작품은 『5월』(광업조선 1939.5), 『항민』(조선문학 1939.6), 『어머니』(농업조선 1939.9), 『단오』(광업조선 1939.10)로 이어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대체로 인물들의 심리적 관찰과 모럴이 현실의 객관적 정체성을 그려내는 시대적 상황에 직면한 현실적 변화를 부각하고 있다. ‘항민(巷民)’은 의의에서 가정에서의 사람들 속내를 다룬 것으로..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