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유학경림

정등길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370 45 0 1 2019-05-17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유학경림(幼學瓊林)》은 중국 고대 아동들의 계몽도서로 처음에는 《유학수지(幼學須知》, 《성어고(成語考)》, 《고사심원(故事尋源)》이라고 하였다. 최초의 편찬자는 명조 말기의 서창(西昌) 사람인 정등길(程登吉)(자는 윤승允升)이라고 전한다. 또 다른 의견은 명나라 경태년(景泰年) 때의 진사(進士) 구예(邱睿)로 보는 견해도 있다. 청조 가정년(嘉靖年)에 추성맥(鄒聖脈)(자 오강梧岡)에 의하여 약간의 보충을 하여 《유학고사경림(幼學故事瓊林)》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민국(民國) 때 비유용(費有容), 섭포손(葉浦蓀), 채동번(蔡東藩) 등이 이를 증보하였다. 전서는 모두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에는 많은 성어의 출처가 소개되었고 그 외에..

몽구(원문과 한글로 읽는)

이한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1,189 9 0 1 2019-05-16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몽구(蒙求)》 당나라 이한(李瀚)이 집필한(현존본은 《全唐詩》)이다. 그는 경서를 인용하여 전해진 전거가 되는 고사로부터 사언(四言) 운문으로 편찬하였는데, 매 글자는 주술구조의 단구로서 상하 두 구절이 대구를 이루었고 각각 하나의 역사적 사실을 말하였다. 구성은 596구에 2,484자로 되어 있다. 이 책의 내용은 각 과목의 지식을 소개하는 책인 아동교육 교과서이다. 광범위하게 중국의 고대 천문, 지리, 역사, 신화, 의약, 점령, 민족, 전쟁, 동물, 식물 등 여러 분야의 내용을 포함하고 풍부한 자료를 가지는 명저이다. 대부분 역사 인물 이야기로 일부는 전설 인물 이야기도 포함되는데, 언행을 취할만한 것도 있고 격려나 권고의 의미도 ..

삼자경(원문과 한글로 읽는)

왕응린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372 9 0 1 2019-05-15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삼자경(三字經)은 《백가성》, 《천자문(千字文)》과 함께 3대 국학계몽도서라고 한다. 이 책은 중국 고대 아동에게 글을 읽히는 교과서이며, 중국 전통에 따라 어린이 계몽도서로 전통교육에서 삼자경을 암송하여 읽고 도리를 알도록 되었다. 이는 역대 사람들에게 경전으로 추앙받아 끊임없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반드시 독특한 사상 가치와 문화 매력을 가지고 있다. 구조면에서 이 부분은 여섯 개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부분마다 독립적인 중심 뜻을 가지고 있다. 동시에 3자씩 1구, 4구 1조는 한 수의 시와 같은데 하나의 유기적인 통일체로 서로 순리적이며 규칙적으로 되어 있다.<본문 중에서> 이 책은 ‘원문’과 함께 실제로 한글로 독음할 수 있도록 ..

백가성(원문과 한글로 읽는)

무명씨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388 9 0 1 2019-05-15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중국은 속칭 ‘백가성(百家姓)’이라 할 만큼 성씨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만가성’이다. 중국에는 성씨가 많을 뿐만 아니라 별의별 성씨도 다 있는데, 기나긴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점차 성씨가 많이 형성되었다. 원래 북송 초기에 편찬한 몽학(蒙學)도서로서 흔히 볼 수 있는 성씨를 네 글자로 엮어 한 구절씩 엮은 운문으로 4언시와 비슷하도록 구성하여 송독한 가운데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를 외우고 익히는 의의는 중국의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아이들에게 계몽 교육을 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기억력 훈련을 위한 독본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내용은 읽기에 쉽고 기억하기 쉬우며, 《삼자경(三字經)》이나 《천자문(千子文)》과 서로..

제자규(원문과 한글로 읽는)

이육수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996 16 0 1 2019-05-15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제자규(弟子規)》는 지성선사(至聖先師) 공자의 가르침에 따라 편찬한 생활규범이다. 지성선사 공자의 가르침에 따라 편성된 생활규범으로서 학생들이 주로 배우는 6개 과목과 부전공의 1개 과목을 규정하였다. 이 책은 통속적인 문자와 세 글자의 운율 형식으로 학습의 중요성과 사람됨의 도리, 사람을 대하고 사물을 대하는 예절상식 등을 서술하였다. 이 책의 첫머리 총서문(叢書文)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제자규(弟子規) 성인훈(聖人訓) 수효제(首孝悌)·차근신(次謹信), 범애중(泛愛眾), 친인(親仁), 유여력(有余力), 칙학문(則學文)으로 구성하였다. 이중에서 효(孝), 제(弟), 근(謹), 신(信), 애중(愛眾), 친인(親仁), 학문(學..

천가시(원문과 한글로 읽는)

유극장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363 12 0 1 2019-05-22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천가시(千家詩)》는 고대 중국의 명조와 청조 때에 걸쳐 널리 전해졌고 심원한 영향을 끼친 아동 계몽적 격률시선집이다. 산수나 전원, 친구와 이별, 고향의 향수, 옛것을 답습하고 오늘을 슬퍼하며 사물을 읊으며 그림을 그리거나 연회를 베푸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당송 시대의 사회 현실을 비교적 광범위하게 반영하였기 때문에 민간에 널리 전해지고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은 송나라 사방득(謝枋得)이 천가시를 두 번 고친 ‘칠언율시(七言律詩)’와 청대에 왕상(王相)이 선택한 ‘오언천가시(五言千家詩)’를 합쳐 구성한 것이다. 《천가시》는 당송 시기의 사회 현실을 비교적 광범위하게 반영하였으므로 민간에 널리 전해졌고 그 영향도 아주 심원하였다...

불국사에서

현진건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81 57 0 1 2019-05-09
• 고도(古都巡禮) 경주 신라 27세 선덕왕(善德王) 때 건축한 것으로 서력으로 632년, 동양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랜 천문 관측대라 한다. 원통형(圓筒形)으로 화강석을 쌓아 올린 것인데 높이가 29척 넘고, 꼭지의 넓이가 8척 5촌, 농업국인 우리나라에 천문대가 먼저 발달한 것도 어엿한 일이다. 다만 후생이 못난 탓에 정당한 발달을 계속하지 못하고 이 첨성대를 자랑하게 됨은 통곡할 노릇이 아니냐.<본문 ‘첨성대’ 중에서> <차례> • 고도순례 경주 여행 공덕송(功德頌)/장님과 단청(丹靑)/백지 같은 마음/고추나라로/광활한 대야(大野)/박물관 분관/금관의 경이(驚異)/옥충(玉蟲)과 마등(摩鐙)/유리(琉璃) 곱보/황옥벽옥적(黃玉碧玉笛)/옥적(玉笛)의 내력 /이성..

문학과 윤리

서인식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281 10 0 1 2019-05-08
인간의 사회적 공동생활에 있어서 행위의 규칙, 또는 준칙으로서 의미를 가진 전통, 관습, 법칙, 의례, 문물, 제도 등 모든 국민적이고 공민(公民)적 질서는 윤리의 관습으로서 측면을 이루는 것이다. 그들 사회적 관습성에 주체적 진실성의 확실한 증거는 실천 이성(理性)이니 인간성의 양심이니 양식(良識)이니 하는 것들은 모두 윤리의 심정(心情)성을 대표하는 것이다. <본문 중에서> <목차> *문학과 윤리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금강유기

고유섭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50 7 0 1 2019-05-05
조선의 과거 예술은 어떠했는가? 미술은 철학이 아니요, 과학이 아니요, 시가(詩歌)가 아니다. 과거 미술을 논하자면 눈앞에 게시할 수 있는 미술품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다만 미술품의 물질성만을 문제로 하는 것이 아니다. 거기서 정신을 수습할 수가 있어야 한다. 미술사(美術史)는 역사만이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조선미술사의 전제로 미술품의 수집이 필요하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 금강유기(金剛遊記)

낙화암

함세덕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394 13 0 1 2019-05-06
* 함세덕의 희곡작품 ‘백제 멸망사’ 낙화암(落花巖). 궁성(宮城)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구릉. 산복(山腹)(산중턱) 후면은 절벽, 그 밑으로 사비수(泗沘水), 일명 백마강(白馬江)가 흐른다. 나무와 검은 바윗돌 사이로 좌변(左邊) 산정(山頂)으로 가는 길, 우편(右便) 산록(山麓)으로 내려가는 길, 산복을 감도는 길의 세 갈래가 있다. 우변(右邊)에 누가 살다 버린 채 돌보지도 않는 쓰러져가는 초암일헌(草庵一軒). 이 산은 다음의 슬픈 사실(史實)이 있은 후 누구의 입에선지 ‘낙화암’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본문 중에서> <목차> ● 낙화암(落花巖) <백제 멸망사> 프롤로그 제1막 제2막 제3막 제4막 작자 부기(附記) 참고 주해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