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조선 여성과 정월 풍속

차상찬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308 22 0 1 2019-01-29
정월 초하룻날이 되면 여자를 막론하고 모두가 새 옷을 갈아입었는데, 일반적으로 그것을 ‘슬옷’이라고 한다. 하지만, 여자와 어린아이에 대해서는 특히 ‘슬법(세장歲粧)’이라고 한다.<본문 중에서> <목차> 서문 1. 슬법과 문안(問安) 여자 하인 2. 수성선녀도(壽星仙女圖)에 분향재배 3. 상자월(上子月)과 방아 찧기 4. 상인일(上寅日) 대소변 금지 5. 상초일(上初日)과 수명 연장 6. 상사일(上巳日) 머리 빗기 금지(梳髮) 7. 소음일(小淫日)과 숙정문(肅靖門) 출입 8. 달맞이 답교(踏橋) 9. 판희(超板戱) 10. 신수점(身數占)과 불공 11. 소발(燒髮) 액운 제거 12. 여자아이의 호리병박 13. 졸토부조(拙土敷竈) 14. 귀신일..

베개의 유래

유자후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261 20 0 1 2019-01-25
조선의 베개를 크기별로 하면 사방침(四方枕), 장침(長枕), 의침(倚枕), 중침(中枕), 소침(小枕)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사방침이나 장침이니 하는 것은 베고 자는 베개가 아니며, 팔을 의지하는 큰 베개도 중침(中枕)과 소침(小枕)은 베고 자는 베개이다. 중침(中枕)은 성인 이후에 사용하는 것이며, 소침(小枕)은 성인 이전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베개는 벗도 되며, 아내도 되며, 남편도 되며, 동반자도 되며, 동지도 되며, 스승도 되며, 의지함과 믿음이 된다.’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베개의 필요성과 기원 제2장 침(枕)의 의의 제3장 베개의 종류 1) 진한(辰韓)의 전침(錢枕) 2) 고려의 수침(繡枕) 3) 조선침의 대소..

한식의 유래

차상찬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253 7 0 1 2019-01-22
개자추(介子推)가 죽은 날에는 나라와 일반 백성들이 모두 해마다 엄숙하게 제사를 지내거나 그가 죽은 불을 안심하고 쓸 수 없다고 하여, 그의 제사를 지내는 전후 3일 동안은 일제히 불을 금하고 음식까지도 찬 것을 먹으며 그의 명복을 빌게 되었습니다.<본문 중에서> <목차> <본문> • 한식(寒食)의 유래

백가성(白哥姓)

김내성 | 온이파브 | 2,000원 구매
0 0 297 7 0 1 2019-01-28
‘백(白)’자에서 나는 이상과 같은 고결(高潔) 내지 고상(高尙)을 연상하는 동시에, 아니 그보다 먼저 그 어떤 병적 환영을 뇌리에 그릴 수 있으며, 그리고 거기에 한층 더 강렬한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본문 중에서> <목차> <본문> • 백가성(白哥姓)

정지용 시집 도굴

정지용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374 16 0 1 2019-01-21
백일(百日)지성(至誠) 끝에 산삼(山蔘)은 이내 나서지 않었다. 자작나무 화투ㅅ불 확근 비추우자 도라지 더덕 취싹 틈에서 산삼(山蔘)순은 몸짓을 흔들었다. 심캐기 늙은이는 엽초(葉草) 순쓰래기 피여 물은 채 돌을 벼고 그날 밤에사 산삼(山蔘)이 담 속 불거진 가슴팍이에 앙징스렵게 후취(後娶)감머리 처럼 당홍(唐紅)치마를 두르고 안기는 꿈을 꾸고 났다.~(도굴)<본문 중에서> <차례> • 본문 조찬(朝餐) 비 인동초(忍冬草) 붉은손 꽃과 벗 도굴(盜掘) 예장(禮裝) 나비 호랑나비 진달래

갓 이야기

이여성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349 6 0 3 2019-01-25
조선은 의관(衣冠)의 나라로 삼국 시대부터 대륙의 문화를 수입하여 왔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모방해 온 것은 사실이다. 또한 주례(周禮)에도 ‘갓’이 없었고, 한복(漢服)에도 ‘갓’이 없었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 갓 이야기 참고문헌(이미지)

기독교와 신문화

임화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20 10 0 1 2019-01-27
언어, 교육, 언론, 과학 등의 보급을 통하여 신교는 반세기간 신문화 육성에 유력한 협조자이었다. 그러나 신교 자신도 조선의 신문화 건설의 원조가 직접적 목적은 물론 아니었다. 외교기관과 같이 들어오고 상인과 같이 들어와서 정치와 상업의 날카로운 기세를 어느 정도까지 유연하게 만드는 데 그 주요 목적이었을 지도 모른다.<본문 중에서> <목차> 제1장 신문화와 도입 제2장 신문화 기독교의 공헌 제3장 신문화와 기독교의 문화적 영향 제4장 신문화의 공적과 성과

전환기와 작가

김남천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05 14 0 1 2019-01-23
지성은 안온할 때에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언제나 혼란할 때에 활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황혼을 타서 비상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본문 중에서> <목차> 제1장 전환기의 태동과 인식 제2장 전환기의 위험성과 중요성 제3장 전환기의 모색 제4장 지성의 변화와 임무 제5장 서양 이념의 변화적 추이 제6장 동서양의 지성적 관점 제7장 동양의 지성적 자세 제8장 전환기 문학의 당위성

역사소설 문제

현진건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58 7 0 1 2019-01-23
소설이란 두 자가 붙은 이상 철두철미 창작임을 요구합니다. 약간의 과장과 윤색을 베풀어 사실(史實)과 전(傳)에 조금 털 난 몸을 가지고 ‘이게 역사소설이니라’ 하니 ‘역사소설도 소설인가’하는 의문을 발하게 되지 않는가 생각합니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 역사소설 문제

시조시와 서양시

안자산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56 10 0 1 2019-01-23
서양시의 어떤 시구(詩句)든지 강음(强音)과 약음(弱音)의 연속으로 일어나는 음악적 결과의 선율이 있다. 그리하여 그 시구의 강음과 약음은 정한 규칙적 ‘리듬’의 법칙에 따라 배열하는 것이다. 그와 한 가지로 시조시(時調詩)의 정형도 6구(句)3장(章)으로 구성됨을 일정불변의 규칙으로 삼은 것이다.<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정평(正評) 제2장 율조(律調) 제3장 성조와 철자법(聲調와 綴字法) 제4장 각운(脚韻)과 시어(詩語)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