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현실표현의 방법

권환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56 9 0 1 2019-06-09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의 본질을 모방이라 하였다. 그러나 그 후 2세기 시대의 신학자 철학자 필로스트라토스(Philostratos)의 눈으로 본 것을 충실하게 모방하는 ‘미메시스(mimesis)’(모방)와 ‘보이지 실재하는 것의 유추에 따라서 창조’하는 ‘상상(想像)(Phantasia)’을 엄중하게 구별하여 예술 창작상 전자를 후자에 대비하여 저급적 요소로 간주하였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 현실표현의 방법 1/2/3

조선복색원류고

이여성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376 19 0 1 2019-06-04
건국 초기에 회색과 옥색(玉色)을 금지한 것은 고려 말기 때와 같이 검붉은색(玄色)을 더할 수 없이 좋은 색으로 알고 이것과 혼동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인 듯하다. 하지만 이 빛을 나라에서 금지하는 색깔로 한 것에는 이전 조선에 전래하는 참언서(讖言書)의 미신이 컸던 것을 간과할 수 없다. 흰옷의 금지는 먼저 서술한 대로 오행사상에서 출발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상복인 소복(素服)과 혼용됨을 꺼리는 데에서도 그 원인을 볼 수 있다. 진홍색(土紅) 즉 담홍색(淡紅色)과 옥색(玉色) 즉 연한 청색은 상제(喪制)의 소복과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에 외국 손님을 맞을 때에는 착용하지 않도록 한다. 평소에 색깔이 짙은 옷을 입으라는 것이다.<본문 중에서> <차례> 서(序)..

조선 고미술의 특색

고유섭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90 14 0 1 2019-05-31
조선의 미술은 정제성이다. 예를 들어 경주 석굴암을 들더라도 건축적 양태, 그것은 정제되어 있으나 그곳에 있는 조각은 팔부중(八部衆)의 변변치 않음에서 완전 정제를 이루지 못하였다. 도자(陶磁)공예에서 예를 들면 기물(器物)의 형태가 원형적 정제성을 갖지 않고 왜곡된 파형(跛形)을 많이 이루고 있다. 이곳의 형태가 형태로서의 완전형태를 갖지 않고 음악적 율동성을 띠게 된 것이다.<본문 중에서> <차례> 서(序) 제1장 조선 미술이 특색 제2장 조선의 미술을 정제성 제3장 비균제성과 비대칭성 제4장 미술의 무관심성 제5장 조선 미술의 맛 제6장 청자의 상감(象嵌) 맺음말

언어의 마술성

임화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87 7 0 1 2019-05-29
인간의 존재를 그 무슨 마술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견지란, 곧 인간의 일반적인 입장이며 다시 말해서 인간으로부터 구체적인 모든 존재의 속성을 추상하고 유심(唯心)이 최고라는 하나의 방법으로 대치하는 견지에 벗어나지 않는다. 이론적으로만이 문화의 역사상 사실에 의해서도 언어와 문학과 그 이외의 이것들을 가능케 하는 사유(思惟)는 인간이 생물 역사 가운데 성립함과 함께 동시에 탄생했다고 본다.<본문 중에서>

이데올로기론

신남철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48 13 0 1 2019-05-29
이데올로기라는 말을 설명하여 인간학적으로나 심리학적으로 종래의 형이상학을 부정하여 새롭게 정신과학을 세워보려고 한 트라시는 ‘정확히 그리고 산문(散文)적으로 말한다’는 프랑스 계몽주의 계통을 이어받았다. 프랑스 유물론이 철학적 이론 영역에 있어서 이론적이고 인도적 유물론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것의 실천 영역에 있어서도 프랑스와 영국의 사회주의자는 인도주의와 일치하는 유물론을 나타났던 것이다.<본문 중에서> <목차> 제1장 마르크스 이전의 이데올로기론 제2장 마르크스 엥겔스의 이데올로기론 1. 하부 건축과 상부 건축 2. 이데올로기의 본질 제3장 이데올로기의 부르주아 과학

24명의 효자 이야기

곽거경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771 33 0 2 2019-06-04
중국 고전 철학!! 고대 역대 24명 효자 주인공들의 집록!! 원제 《24효(二十四孝)》의 정식 명칭은 《全相二十四孝詩選》인데 원나라 곽거경이 편찬한 것이다. 중국 고대 중요한 윤리 사상의 하나로 역대 24명 이야기의 효자 주인공들을 집록하여 그들의 서로 다른 환경과 각도, 불행을 겪는 이야기들을 집대성한 이야기이다. 이야기 대부분은 서한(西漢)의 경학자 유향(劉向)이 편집한 ‘효자전《孝子傳》’에서 소재를 얻었고, 또한 일부 이야기는 《예문유취(藝文類聚)》나 《태평어람(太平禦覽)》등 서적에서 얻은 것이다. 이 책은 민간에 일반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어린이 계몽도서로 내용은 상고로부터 당송에 이르기까지 효도한 24개 ‘효친(孝親)’ 부모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야기를..

입옹대운

이어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479 40 0 1 2019-05-23
중국 고전 철학!! 《입옹대운(笠翁對韻)》은 옛날 사람들이 근체시(近體詩)나 말을 배워 대구(對句)를 익히고 운율을 사용하며 단어를 조합하는 계몽도서로 《성률계몽(聲律啟蒙)》을 모방하여 시를 짓는 것을 목적으로 한 운율을 분류한 책이다. 구성은 권1권과 권2로 나누어져 있으며 운율에 따라 분류하면 천문, 지리, 화목(花木), 새와 짐승, 인물, 물건 등을 포함하였다. 이에 아이들의 대구 연습을 하도록 운율과 율동을 파악하도록 한 계몽도서이다.<본문 중에서> 이 책은 ‘원문’과 함께 실제로 한글로 독음할 수 있도록 ‘음(音)’을 달아 쉽게 읽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차례> 들어가는 말 작가 소개 입옹대운(笠翁對韻) 원문과 독음 • 상권 1. 동..

증광현문

작자 미상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565 12 0 1 2019-05-22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증광현문(增廣賢文)》은 일명 《석시현문(昔時賢文)》, 《고금현문(古今賢文)》이라고도 하는데 중국 명조 시기에 편찬한 아동계몽서이다. 책의 제목은 명조 만력(萬歷)년에 나타난 희곡 《모란정(牡丹亭)》에 근거하여 이 책이 가장 늦게 만력년에 쓰였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이 책은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각종 격언과 속담들을 모든 책이다. 이후에 명조와 청조 두 시대의 문인들이 끊임없는 보충을 더 하여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고쳐졌는데, 이를 《증광석시현문(增廣昔時賢文)》이라고도 하면서 일반적으로 《증광현문(增廣賢文)》이라고 부른다. 전체적으로 보면 난잡해 보이지만, 책 전체를 제대로 통독하면 인성에 대한 인식은 유가 순자(荀子..

급취장

사유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437 42 0 1 2019-05-22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급취장(急就章)》은 급취편《急就篇》이라고도 하는데, 한·원(漢元)제 시기 황문령(黃門令)은 사유(史游)에게 명하여 편찬한 것이다. 이 책은 중국 비첩경전(碑帖經典) 계열 중의 한 권으로서 한조 시기의 명비(名碑)인 《급취장(急就章)》의 전문 탁본에 수록되었다. 한대 어린이들의 글자를 익히는 책, 이를테면 《창힐편(倉頡篇)》, 《훈찬편(訓纂篇)》, 《범찬편(凡將篇)》, 《방희편(滂喜篇)》 등은 이미 사라지고 없고 《급취편(急就篇》만이 전해지고 있다. 책 전체가 삼언, 사언, 칠언으로 되어 삼언(三言), 사언(四言)을 간격을 두고 압운하고, 칠언(七言)은 구절마다 압운하여 암송하여 익히도록 하였다. 내용에 있어서는 조직(組織), 생물(生物..

효경

공자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489 28 0 1 2019-05-22
중국의 고전 철학!! 《효경(孝經)》은 공자의 저서이다. 하지만, 효경(孝經)은 전설에 의하면 공자의 자작이라고 하는데, 남송 시기에 이미 일부 사람들은 후세의 말이나 이론을 억지로 끌어다 붙인 것으로 의심하였다. 구성의 전 부분은 모두 18장으로 나뉜다. 이 책은 효를 중심으로 하여 더욱 집중적으로 유가의 윤리 사상을 발전시켰다. 유교의 효도를 강의하는 것으로 모두 1,800여 글자에 이른다. 편의 폭이 비록 작지만, 여전히 독립적인 경서로서 13경의 하나로서 공자가 춘추 시대 유학자를 위하여 효도에 관해 저술한 책이다. 청조 기윤(紀昀)은 《사고전서 총목(四庫全書總目)》에서 이 책은 공자의 ‘칠십자 제자들의 유언(七十子之徒之遺言)》’으로 진한 시기에 집필되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