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역사의 인간적인 것

김오성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287 12 0 1 2019-05-02
계몽기에는 르네상스 운동이 근대 문화로써 개화하기 시작한 시기이었다. 따라서 근대 시민으로서 인간이 자기들의 인간적 이념을 확립하게 된 것도 이 시기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민 문화의 개화, 시민적 인간은 인간적 이념의 확립을 르네상스 휴머니즘의 발전이면서, 또한 그것의 사이가 점점 멀어졌던 것이다. 따라서 시민적 인간 이념의 확립은 휴머니티의 상실을 낳은 것이다.<본문 중에서> <차례> • 역사의 인간적인 것 인간의 자기 휴머니티 1/2/3/4/5/6

사색의 일기

신남철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32 8 0 1 2019-04-27
나의 말이 어떤 사람에게는 나는 쓸데없는 말로밖에는 안 들릴 것이고, 또한 어떤 사람에게는 오만이라고까지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나는 그렇다고 움츠러들지 않을 것이다. 아니 도리어 한이 어린 반딧불이 되기를 바란다. 그 반딧불이 작은 광명일지라도 그 언저리를 비치자면 어두운 밤이 필요하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서문 본문(형극의 관(冠))

창조적 비평

임화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41 9 0 1 2019-04-26
우리들은 비평이 엄밀한 철학적인 것과 문예 과학적인 범주와 개념을 거의 대부분 사용하지 않고, 주로 설화(說話)와 은유(隱喩) 등의 문학적 언어를 비평적이고 평론적 문장 가운데에서 구사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의심할 수가 없는 사실이다. 설화에 의한 논리란 것은 논리학을 갖지 않은 철학과 마찬가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본문 중에서> <목차> <본문> •창조적 비평 1/2/3

생산소설론

임화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319 10 0 1 2019-04-26
현실이란 생산과 소비의 통일 물건이다. 사람들 항상 무엇을 쓰고 있을 뿐 아니라 만들고 있다. 바꿔 말하면 사람은 쓰고 만드는 것의 통일이다. 쓰는 측면에서만 인간을 그린다는 것은 마치 시정의 측면에서만 세계를 보는 것처럼, 인간을 전체에서 보지 못한다.<본문 중에서> <목차> <본문> •생산소설론 1/2/3/4

문화창조와 교육

신남철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47 10 0 1 2019-04-25
우리는 ‘개인의 발견’이 인류문화 사상에 끼치는 공적을 계승하기 위하여 무슨 보관 보강 공작을 함으로써 시대의 진보할 기운에 이바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 작용이라는 것은 그저 단순한 접목이어서는 안 된다. 방법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나의 논술에 있어서는 너무도 거창한 부담이므로 단지 나열에만 그친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1/2/3/4

신진소설가의 작품세계

김남천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462 9 0 1 2019-04-24
나와 같이 직감력이 충분히 못하고 한 사람은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을 스스로 느끼지 못한 바는 아니나 우선 가능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 여기에 이 기록을 써보려고 하는 것이다. 첫째 내가 대상으로 하려는 분들이 작품 이외에 어떠한 창작적 주장을 발표하거나, 또는 같은데 문학적 세계관을 가진 이들 사이에 유파(流派)나 조류(潮流)나 집단에 있어서 자기들이 방황하는 예술상 신조를 토로한다든가, 그러한 습관이 도무지 없어서 그들 세계를 단정하기가 여간 곤란한 것이 아니었다.<본문 중에서> <목차> <본문> • 신진소설가의 작품세계

통속소설의 검토

안회남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39 7 0 1 2019-04-23
소설은 다른 어떠한 문학보다도 상식의 문학이다. 상식이 가지는 수량적 의미와 논리적 의미는 물론이고, 상실의 진보(進步)와 상식의 비약까지도 문학 소설은 그것을 전부 포용한다. 상식의 진보와 비약은 역사와 항상 보조를 같이하는 것이다.<본문 중에서> <차례> • 본문 통속소설의 검토

비운의 시인 김소월

김안서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322 10 0 1 2019-04-22
시(詩)의 작자(作者)인 소월이를 잃은 이 날에 이 작자를 생각하는 나의 마음은 아득한 예전날로 돌아가서 이 작자의 이 시에서는 안타까운 심정을 하소연하게 됩니다. 이것도 무슨 소월이와 뜻하지 않은 숙연(宿緣)인기 봅니다. 더구나 생각하면 이 시는 소월이의 18~19세 전후에 작품으로 이 시에 대하여 토론도 하였을 뿐 아니라 그때는~<본문 중에서> <차례> • 본문 1/2/3/4/5

조선문학의 특징

김태준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243 10 0 1 2019-04-22
법흥왕이 법률을 반포하고 백관공복(百官公服)을 처음 제정한 지(AD520) 9년 만에 불교의 전래를 보았고, 다시 19년 이후인 진흥왕 6년에 신라 ‘국사(國史)’에 거칠부(居柒夫) 등의 손에 저술된 것이다. 그러나 문화, 특히 문학 형태 생산의 최대 요건은 문학의 발달과 습득에 있는 것인데, 독자의 문자를 갖지 못한 조선 고대사회는 중국과 교류하는 동안에 문자의 수입을 보게 되었다. <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삼국시대의 출현 제2장 고대 문학의 시작 제3장 고대 문학의 종류와 특징 제4장 사료 속의 문학 작품

조선사론

신채호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222 12 0 1 2019-04-19
이 책은 『조선사론(朝鮮史論)』 ‘단재(丹齋) 신채호 선생 유고(遺稿)’ 제1집(1946) 발간본을 해제한 것입니다.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 시간으로부터 발표하며 공간으로부터 확대하는 심적(心的) 활동의 상태 기록이니, 세계라 하면 세계 인류의 그리되어온 상태의 기록이며 조선사(朝鮮史)라 하면 조선 민족이 그리되어온 상태의 기록이다. 무엇을 ‘아(我)’라 하며 무엇을 ‘비아(非我)’라 하느뇨? 깊이 팔 것 없이 말하자면 무릇 주관적 지위에 선 자를 아(我)라 하고 그 외에는 비아(非我)라 한다.<본문 중에서> <차례> 머리말 제1장 사(史)의 정의와 조선사의 범위 제2장 사(史)의 3대 원소(元素)와 조선 구사(舊..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