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조선음악소고

함화진 | 온이퍼브 | 9,000원 구매
0 0 526 20 0 1 2019-12-18
‘조선 아악(雅樂) 정수(精粹) 해설서!! 악가는 유탕(遊蕩)적이요 음미(淫靡)적인 음악은 절대로 배척하고 예술적이요 실질적인 음악을 작출하여 일반 사회에게 고상한 예술 취미의 교육을 보급시켜 일반의 위안을 조장한다. 또는 인격교육 중심으로 하는 것이 지당한 득책이라고 할 것이다. 대개 인격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정당한 득책이라고 할 것이다. 중국은 동양의 가장 오래된 문화를 가지고 있는 만큼 그 선민(選民)적 사상으로부터 중국인 이외의 민족을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 불러왔다. 이것이 조선족에 쓰인 호칭은, 즉 ‘동이(東夷)’라 하였다. 당시 재상(宰相) 왕산악(王山嶽)이 칠현금을 보고, “이것은 중국인 성악에 적당한 것이요..

쉽고 빠른 조선역사

최남선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755 24 0 1 2019-12-09
* 최남선(崔南善)(1890~1957) 호 육당(六堂), 한샘 서울 출생 사학자, 문인 황성신문, 제국신문, 독립신문에 논문 기고 동경부립제일중학 수학 와세다대학 지리역사학과 수학 종합 월간지 ‘소년(1908)’, ‘청춘(1914)’ 창간 청년학우회의 설립 1919년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대표 저서 《백팔번뇌(百八煩惱)》《불함문화론(不咸文化論》 외 다수 역사서

조선의 육해군사

안확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396 14 0 1 2019-11-22
근세조선 시대에는 병기의 발달로 인하여 큰 변화를 이루었다. 그 제도는 5위(衛)로 조직하였으며 의흥위(義興衛), 용양위(龍驤衛), 호분위(虎賁衛), 충좌위(忠佐衛), 충무위(忠武衛) 등이다. 각 위(衛)를 5부(部)로 나누고 각 부(部)를 4통(統)으로 구분하였다. 위(衛)에는 위장(衛將) 15명이 있고 부(部)에는 부장(部將) 25명이 있고 통(統)에는 통장(統將)을 배치하고 그 아래에 여사대(旅師隊) 정오장(正伍將)을 두었다. 경성에는 오영(五營)이 있었으니 훈련도감(訓鍊都監), 금위영(禁衛營), 어영청(御營廳), 총융청(摠戎營), 수어청(守禦廳) 등으로 5장(將)의 다섯 사람이 통제하였다. 지방에는 절도사(節度使), 병사(兵使) 등이 있어 각 군사를 통솔하였다..

고려 태조

현상윤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75 14 0 1 2019-11-20
태조는 견훤과 함께 해마다 교전하였고 승리하거나 패배하거나 하다가 태조 18년 6월에 견훤 맏아들 신검(神劒)의 반란 때문에 도망하여 고려로 왔는데, 태조의 후한 예의로서 대접하고 상대하며 상부(尙父)*라고 호칭하여 남쪽 궁궐에 거주하도록 하였다. 처음에 견훤이 잉첩(媵妾)*이 많아 아들 21명을 두었는데(중략)<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내력 제2장 등극 제3장 내치 제4장 국내 통일 제5장 외교 제6장 후세에 전하는 교훈 제7장 붕어(崩御) 제8장 인품과 공덕

김홍도

고유섭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310 6 0 1 2019-11-19
<호산외사(壺山外史)>에는 산수(山水), 인물, 화훼(花卉), 영모(翎毛)(새나 짐승 그림)가 본래 오묘함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 없다. 신선도(神仙圖)에 더욱 능하여 구김실 문양(皺擦句染)과 몸뚱이에 옷자락(軀幹衣紋)이 옛사람의 수법을 답습하지 않고 스스로 자연의 가장자리를 옮기고 들추어내어~<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 김홍도(金弘道)

왕산악

안자산(안확)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96 11 0 1 2019-11-15
한번은 진나라의 어떤 사람이 칠현금(七絃琴)*을 내왕하여 바친 자가 있었다. 정부는 이를 허락하였으나 처음 보는 물건이라 그 음계의 구조와 탄주(彈奏)의 방법을 알지 못하여 후한 상을 약속한 후에 해음자(解音者)를 구하였다. 이것이 왕 상공의 현금을 창조한 동기이다.<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가곡(歌曲)의 음조 제2장 왕산악의 주체성 제3장 거문고의 제작 동기 제4장 율조와 음계 형식 제5장 왕산악의 과업

고조선 단군

이능화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76 27 0 1 2019-11-19
지금의 단군(檀君) 칭호의 단(檀) 글자는 박달(朴達)나무의 단(檀)이 아니며, 자단향(紫檀香)의 단(檀) 글자인 것이 명백하다. 태백산이 묘향산으로 바꾸어 부른 그 경로를 연구하여 보면 고려 인종(仁宗) 때 굉곽탐밀(宏廓探密)이라 하는 이름난 승려 두 사람이 있어 태백산에 가람(伽藍)(사찰)을 창건하는 동시에 바로 그 산에 자단(紫檀)이 많이 나온다는 것을 보고 불서(佛書)에 실은 전단향(栴檀香)의 의의를 인용하여 산 이름을 묘향(妙香)이라고 개칭한 듯하다.(신여암(申旅菴)의 단군 칭호 해석 중에서)<본문 중에서> <차례> 제1부 단군 칭호의 증정(證正) 제1장 남구만 약천집(藥泉集) 단군 칭호 해석 제2장 안순암(安順菴)의 단군 칭호 해석 제3장 신여암(申..

금동미륵반가상

고유섭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358 14 0 1 2019-11-01
대체로 ‘미륵(彌勒)’이란 것은 범어(梵語)로 Maitreva라고 하며 Metteyya라고 하는 것으로 음역하여 매원여사(梅垣麗耶)라 하고 의역하여 자씨(慈氏)라 하고 아일다(阿逸多)(무능승無能勝)라 한다. 금동미륵반가상(金銅彌勒半跏像)은 얼굴이 둥근 것에 가까운 풍만한 모습으로 몸통은 작고 머리를 큰 한(恨)이 다소 서려있다. 눈썹에 봉안(鳳眼)을 반쯤 뜨고 콧마루가 첨예하고 코 양쪽 콧방울(廷尉)(蘭台)이 단아하다. 입 모양은 방형에 가깝고 입아귀에는 다소 완화된 아르카익 스마일(archaic smile)*을 가졌으며 인중은 깊고 크다.<본문 중에서>

남근숭배

편집부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406 16 0 1 2019-10-30
문화가 발달한 사회로는 인도가 생식기 숭배로 가장 유명하다. 인도의 이 풍습은 그 유래도 오래되었지만, 그 후에 인도 철학과 결합하여 지식계급의 신앙 중에 들어감에 따라 유례없는 고상한 사상적 배경과 찬연한 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유명한 인도 육파(六派)의 철학 가운데 일파인 수론파(數論派)에서는 우주의 본체를 둘로 생각하였다. 그 하나는 신아(神我)란 것으로 영혼이나 정신을 의미하며, 다른 하나는 자성(自性)이다.<본문 중에서>

조선의 풍속 강의

최남선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360 25 0 1 2019-10-21
『조선의 풍속 강의』(원제 ‘조선역사통속강화’)는 전반적인 주제를 역사학적 관점에서 기술한 글로 1922년 최남선 외 저자들이 참여 창간한 시사잡지〈동명(東明)〉에 연재되었다. 고대 문화의 중심이 되는 종교는 신화를 가지고는 성립한 것이다. 또한, 발달한 것이다. 신화 한 가지 속에 고대인의 정신적 유물이 온통 들어있다. 그들의 사상, 감정, 관찰, 지각(知覺)이 여기에 모두 나타나 있으며, 그들의 신앙, 찬송, 영탄(永嘆), 이론이 여기에 함께 뭉쳐있다.(‘신화’ 중에서) 조선어가 이미 첨착어이며 이미 우랄 알타이어족이라고 인정되는 것에는 그 언어 형태와 어법이 만주어, 몽골어, 터키어, 사모예드어(Samoyed) 등의 자매어(Sister language)하고 유사..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