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김유정 이야기 겸허

안회남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225 6 0 1 2019-01-10
내가 검정 두루마기를 벗어놓고 좋은 양복을 입으며 다닐 때 유정은 아직도 때가 조르르 흐르는 남루를 걸치고 나타났다. 언젠가 한 번은 찾아와서 머리가 더붕하고 옷이 더러워서 어느 병원엘 갔다가 간호부에게 푸대접을 받았다구 하소연하였다.(어느새 그는 병원 출입이 잦았다!) 그때 쑥 들어간 두 눈에 비창하면서도 유순한 표정을 짓던 것이 지금도 잊어버려지지 않는다. 이런 비유를 말하는 것은 내 고인에게 대하여 죄 됨이 많을 지나 그것은 흡사히 충실하고 착한 개, 또는 약하고 순한 토끼, 이와 같은 동물이 불시에 변을 당할 때 짖는 종유의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정은 그처럼 겸손하였고 그처럼 선량하였다.<본문 중에서>

에스페란토론

석주명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13 10 0 1 2019-01-06
에스페란토는 세 가지 요건을 모두 갖춘 완전한 공통어로 과학적 언어이면서 학술적으로 채택한다 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에스페란토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모두 한 민족에서 두 가지 언어를 주장하는 사람들이다. 우리 민족은 이 에스페란토 운동에는 적당한 지위에 놓여있으니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1905년에 프랑스에서 제1회 만국 에스페란티스로대회가 열린 이후 기간에 제2차 세계대전으로 두 차례나 중단되었지만, 벌써 제2차 대전 이후에 계속하여 1948에는 스웨덴 말뫼(Malmö)에서 제33회 대회가 대성황으로 거행되었다.<본문 중에서>

조선시의 상징

오장환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20 10 0 1 2019-01-04
<초혼(招魂)>의 저작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925년 12월에 간행된 그의 시집 《진달래꽃》 <독고(獨孤)> 일련 속에서 볼 수 있다. 또한 그 유일한 스승으로 삼을 만한 벗인 안서(岸曙)(김억) 씨의 기술에도 《진달래꽃》 안에 있는 모든 작품은 대개 그의 소년기인 오산(五山)학교 중학 시절에 구상이 된 것이라 하였다. <차례> • 조선시의 상징 — 소월 시의 ‘초혼(招魂)’을 중심으로 제1장 조선 시의 상징성 제2장 상징시의 영향 제3장 조선과 유럽의 상징주의 발생 원인 제4장 조선 시의 현재 정세

꾀꼬리와 나비

방정환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325 6 0 1 2019-12-27
나비와 꾀꼬리는 후루루 날러서 방으로 들어갔습니다. 방이래야 좁다란 한 칸 방인데, 아홉 살쯤된 어린 사내아이가 마르고 파—란 얼골에 눈을 감고 누어서 잠이 든 것 같기도 하고 죽은 것 같기도 하였습니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 꾀꼬리와 나비

석주명 나비채집 20년

석주명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226 21 0 1 2018-12-28
우리나라의 나비박사! 먼저 내가 있는 개성 지방의 나비부터 풍부하게 모아 분류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수년간 모은 개성 지방 나비는 생도들의 도움도 있었기 때문에 벌써 수십만 종에 이르렀다. 그런데 그중에는 수천 마리에 이르는 종류도 있고 단 한 마리밖에 안 되는 종류도 있었다. 그러면 개성 지방에서 나온 나비류 목록을 작성하자고 만든 것이 1933년이었다. 개성 지방은 내가 15년 동안 수천 명의 학도를 동원하여 채집한 곳이다. 전 세계적으로 한 지방에서 여기 만큼 자세히 알려진 곳은 또한 없을 것이다.<본문 중에서> 또 하나는 『신기한 나비 이름 이야기』(원제: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로 생물학자 석주명이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내려오는 신비한 나비들의 이름 속..

춘향전 소론

송석하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223 8 0 1 2019-01-02
만일 민속극을 비직업적(unprofessional)이라고 정의한다면(이것은 종종 연중행사와 종교적 의식하고 깊은 관계가 있음) 정극은 명백하게 직업적(프로페셔널)인 것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관례이었다. 그리고 이 정극에서 또한 두 가지 다른 계통을 생각의 범위 안에 두어야 한다. 한 가지는 사당패의 하나이다. <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춘향전의 시작 제2장 춘향전의 발생 동기와 극의 변천 제3장 창조극(倡調劇)의 장래

화랑과 풍류

유자후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628 9 0 1 2018-12-28
화랑(花郞)이란 용감한 ‘남성의 의용(儀容)’인 단정한 사람으로 선발하여 ‘풍월주(風月主)’라고 호칭하였다. 어진 선비를 망라하여 무리들의 얼굴 모양으로 삼아 효제충신(孝悌忠信)을 권장하여 현명하고 능력 있는 인사를 선발하였다.<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화랑의 기원과 정의 제2장 옛 풍속의 연예(演藝) 분류 제3장 옛 향토음악의 종류

단군릉 기행

이광수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265 6 0 1 2018-12-28
평양 서울 자체가 동래(東來) 선인 왕검(仙人王儉)의 집이라 함은 단군조선 이래로 이 선도(仙道)의 왕성하였음을 표하는 말일 것입니다. 최고운(崔孤雲)이 국선(國仙) 난랑(鸞郞)의 비문에 국선도(國仙道)를 말하여~<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단군(檀君陵) 기행

동방민족과-신성관념

최남선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24 12 0 1 2018-12-25
동방 세계에서의 지형 역사 및 실제 신앙 등 분야로 보면 가장 대표적인 영산(靈山)은 만주에서 말한 장백산(長白山), 조선에서 말하는 백두산(白頭山)일 것이다. 천하에 명산이 많다고 하나 장백산같이 천세일관(千歲一貫), 각 민족에 의하여 서로서로 절대 존중함을 모으고 있는 산악은 아마 유례를 보지 못했다고 할 것입니다.

민간오락 격구

유자후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246 24 0 1 2018-12-26
축국(蹴鞠)에는 공 모양(毬)으로 고르게 만든 오색의 빛나는 둥글게 깎은 모구(毛毬)*의 ‘공방울’을 차거나 치거나 굴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농주지희(弄珠之戱)라고 분명히 전해오는 것이다. 그러고 이 격구의 방법은 여러 가지로 발달 개량된 모양인데, 그중에 가장 적합한 올바른 기술은 말을 타고~<본문 중에서> <차례> • 농촌오락의 진흥문제 제1장 격구(擊毬) 오락 제2장축국(蹴鞠)놀이의 기원설 제3장 격구의 방법 1. 격구의 사용 도구 2. 격구의 동작 용어 3. 격법(擊法) 제4장 격구(擊毬)의 합격 순위 1. 격구의 도구 2. 격구의 자세 3. 격구의 점수와 표준 4. 격구의 심판 5. 격구회(擊毬會) 6. 격구장 7. 격구락..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