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제일석간

김내성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31 11 0 1 2018-10-25
광화문 네거리를 오른편으로 꺾어져 우편국 앞을 서너 발자국 지났을 바루 그 순간 영훈(英動)은 문득 외인편 겨드랑이 밀에 그 어떤 불길한 공허감(空虛感)을 느끼고 우뚝 발걸음을 멈추었던 것이다. “앗! 책보가 없다!”<본문 중에서> <목차> • 제일석간(第一夕刊)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윷의 기원

김태준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248 7 0 1 2018-10-24
장기(將棋), 장기, 마작(麻雀) 모든 것이 중국인의 발명입니다. 그러고 보면 순수한 조선 놀이로는 아마 윷놀이가 있을 뿐인가 합니다. 그런데 윷을 ‘사(柶)’라는 한자로 대용하지마는 그러면 중국에서는 사(柶)’ 글자의 해석은~<본문 중에서> <목차> 제1장 윷의 어원 제2장 윷놀이의 발생과 문헌

괴도 그림자 후일담

김내성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53 9 0 1 2018-10-24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그림자는 실로 기상천외한 재주를 가진 도적이었다. 누구가 그를 가리켜 그림자라고 불렀는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그림자는 사실 그 영예스러운 이름을 조금도 훼손치 않으리만큼 신출귀몰한 재주를 가지고 그야말로 그림자처럼 나타나서 그림자처럼 사라치곤 하였던 것이다. <목차> • 비밀의 문(門)_ 서(序) 제1부 전편 제1장 괴도(怪盜)그림자 제2장 세 사람의 구혼자 제3장 불길한 예감 제4장 무명(無名)의 편지 제5장 무서운 협박장 제2부 후편 제1장 정각 12시 제2장 목적은 달성하였다 제3장 애인을 위하여 제4장 어둠 속의 그림자 제5장 그림자의 정체

1+1=?

방정환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226 9 0 0 2018-10-24
“1에 1을 가(加)하면 왜 2가 되는지 아는 사람은 손들어봐!” 하고 물었습니다. 그러나 학생들은 서로 얼굴만 쳐다볼 뿐이지 손드는 사람은 하나도 없었습니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제1장 제2장 제3장

방정환의 은파리

방정환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272 18 0 1 2018-10-19
•방정환의 은파리 (사회풍자 수필) 거짓말로만 살아가는 사람 놈들의 세상, 거짓말하고만 잘살게 되는 이놈들의 세상에는 어떤 일이고 그 속이 있고 그 속의 또 속이 있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 아무 놈이나 붙잡고 그 뒤를 밝히면 꾀는 쏟아져 나온다. 단 밑천이 들처나온다. 그것을 나는 알알이 들처내어야 한단. 거기에 은파리의 살아있는 갑이 있단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 은파리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어린이 신문 동화집

방정환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1,130 24 0 1 2018-10-20
아침마다 해님이 산 위에 처음 올라올 때는 누구에게든지 인사를 한답니다. 늦게 일어나는 사람은 그것을 모르고 삽니다. 순남이도 아침마다 늦게 일어나기 때문에 해님을 한 번도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개고리와 소 제2장 개아미 제3장 거짓말한 죄 제4장 굴뚝장이 제5장 그림 아기 제6장 금도끼 은도끼 제7장 꽃 꺾기 제8장 달나라 구경 제9장 말 임자 제10장 아침 해 제11장 어떤 곳에 제12장 오십 전짜리 제13장 이사가는 새 제14장 일 없는 도야지 제15장 작은 새 제16장 종소리 나네 제17장 하늘을 만져보려던 정희 제18장 해바라기

창의문 밖에서

현진건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14 10 0 1 2018-10-18
나는 이곳을 떠나리라고는 그런 꿈에도 생각지 않는다. 좁은 골목, 좁은 집, 케케이 앉은 매연(煤煙), 숨이 막히는 듯한 공기 가운데에서 송사리 떼처럼 복작거리는 서울의 광경은 생각만 해도 진절머리가 난다.<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살아나면 고장 제2장 돌밭을 가는 이들 제3장 꽃장사는 상놈 제4장 새벽에 나타난 범

조선소년운동

방정환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207 7 0 2 2018-10-18
외국 그것의 흉내를 내거나 한때의 흥미로 소년운동에 관계하는 사람이 아니고, 자기 생활에 끊임없는 반성(反省)을 가지고 새것에 대한 열렬한 동경(憧憬)을 가지고 몸소 어린 사람의 나라에 돌아가려는 진실한 사람이 많이 생겨 조선의 소년운동은 바른길을 밟아가게 될 것입니다.<본문 중에서> <차례> <본문> • 조선소년운동 <부록> • 어린이 운동 소사(小事)

육당 최남선론

이광수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238 11 0 1 2018-10-13
육당(六堂)은 1908년(융희2년) 10월 1일에 잡지 『소년』의 첫 호를 발간하였다. 이것은 우리 조선해서 글로 내놓은 문화운동의 첫소리라고 할 만한 것이었다. 비록 조그마한 잡지이었고 또한~<본문 중에서> <차례> 서(序) 제1장 새문화운동의 첫 사람 제2장 조선주의 제3장 문예로 본 최남선 제4장 그의 인물 제5장 육당의 첫인상

신극론

임화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38 6 0 1 2018-10-11
신파극은 상업극과 동의어로 되어온 것인데, 우리 흥행극이 외국의 상업극과 다른 점은 우리 관객의 취미가 외국 관객의 취미와 다른 만큼 결국 다른 데 불과하였다. <목차> • 본문 신극론(新劇論)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