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전환기의 이론

신남철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534 22 0 0 2016-12-02
철학 역사에서 역사 및 사회적 인간이 지금에서 누구를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것에 대한 원칙을 제시하고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오래도록 거북한 역사적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파악하여야 할 것인가? 역사적 사회발전에 대한 원리가 어떻게 현재 이곳에서 어떻게 구체화해야 하다는 것이다. ‘사회과학’ 편에서는 현실사회의 분석으로부터 필연적으로 귀납되는 과학적인 총체적 인식 때문에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따져보려 하였다. 교육문제’ 편에서는 ‘문화 창조와 교육’ 및 ‘자치훈련과 교육과 근본 도리’에서 교육 실천의 역사적 중요성과 그 방법론을 구명하였고, ‘휴머니즘’ 편에서는 이에 미흡한 원리적인 고찰을 제시하였다. 먼저 출간한《역사철학》에서 일부 민족적 ..

조선민주사상사

유자후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355 17 0 0 2016-11-20
우리나라의 민본 민주정치의 기원은 언제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이 책의 시작은 본질적으로 고대 단군 조선은 홍익인간에서 그 발원을 제시하고 있는데, 모든 종주국은 이 사상을 본받아 민생들이 법의 전통으로 받아 계승하였고 전 시대를 통하여 홍익인간의 민본사상과 민생 정신을 국가 이념으로 본받아왔던 것이다. 주요 내용은 조선 건국 시조의 발원 역사와 왕권의 민주사상, 각 시대별 민본주의 정책, 학자들의 민주사상, 시대별 왕권의 반정 혁명, 선거제도 및 정책별 특징을 다루고 있다. 저자인 유자후는 한 말 조선의 화폐연구와 민속학연구에 평생을 바쳤던 한학자로 선도적 역할을 한 인물이며 이준 열사의 사위이다. <서평> <본문 중에서> 우리 민족 민본사상의 ..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여인들(역사 속 미인들의 이야기)

차상찬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961 10 0 3 2016-11-09
동방의 해동염사(海東艶史)는 과연 누구인가?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여인들>은 역사 속 재자가인의 역사와 설화를 바탕으로 하여 그들 희로애락을 테마별로 서술한 것으로 사학자며 언론인이었던 차상찬의 ‘해동염사’를 편역한 것이다. 궁궐의 여성에서 평범한 여성, 이름난 기생까지 절개, 충절, 보은 등 온갖 에피소드 등 알려지지 않은 이야깃거리를 적고 있다. 가장 아름다운 여인은 누구였으며 가장 추한 여자는 누구였는지~열녀와 효녀 등 수십 명의 아름다운 미인들의 흥미진진한 숨겨진 후일담이 소개된다. <서평> <본문 중에서> 관나는 고구려 중천왕 때에 유명하던 미인이다. 그는 얼굴도 예쁘거니와 고운 머리털이 길기가 9척이나 되었다. 중천왕이 특히 사랑하여 작은 ..

성벽(城壁)(오장환 처녀시집)

오장환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796 11 0 0 2016-10-21
<성벽(城壁)>은 저자 시집 중 처녀작으로 본래 초판본은 1937년 풍림사 간(刊)이며 일부 시를 추가하여 광복 이후 1947년(아문각 刊)에서 재출간하였다. 성벽에 이어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두 번째 작품 「헌사」와 세 번째 「나사는 곳」은 저자의 대표 시집이라고 할 수 있다. 총 22편의 시를 담았으며 이봉구가 쓴 ‘성벽 시절의 장환’의 발문으로 마감하였다. 초판본 시집은 어린 시절 노작(勞作)한 것으로 풍림사 이봉구 씨 이름으로 100부 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서평> <본문 중에서> - 월향구천곡(月香九天曲) 오랑주 껍질을 벗기면 손을 적신다. 향(香)내가 난다. 점잖은 사람 여러이 보이인 중(中)에 여럿은 웃고 떠드나 기녀(..

일본전범재판기

김철우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617 9 0 1 2016-10-20
1946년 5월 3일은 우월함을 내세워 세계를 제패하려던 일본 제국주의 전범 피고인 28명을 극동군사재판(도쿄재판)정에 불러들여 ‘도쿄 전범재판’의 역사적인 최후 법정 심판대에 세운 역사적 실황이 개시된 날이다.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동북아시아 및 다른 여러 나라 민족을 정복하려는 야심적 대국가를 건설하려 한 침략주의적 제국주의 전쟁 범죄자들은 키난 수석검사장의 최종판결 운명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 책은 아사히신문 법정 기자단이 쓴 ‘동경재판’ 기록을 참조하여 쓴 것으로 실질 재판 과정의 신랄한 재판과정, 만주침략 등의 무자비한 만행과 전쟁의 시초 동기 등이 자세히 증인들의 입으로부터 전해져 당시 일본군의 극악무도한 만행을 상세히 폭로하고 있다. 1947년 조선경제연..

나사는 곳(오장환 세 번째 시집)

오장환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693 10 0 0 2016-10-10
<나사는 곳>은 저자의 시집 중 처녀작인 「개벽」, 두 번째는 「헌사」이후 세 번째 작품이다. 1947년 6월 헌문사 발간 초판본이다. 두서(頭序)에는 ‘승리의 날’을 필두로 하여 23편을 담았고, 마지막「나 사는 곳의 시절」로 암담하던 한 시절 조선 안에 살고 있던 조선 사람의 내면생활을 그린 가장 정확한 기록이라고 적고 있다. <서평> <본문 중에서> <승리의 날> 메─데─ 남조선에도 두 번을 맞이하는 우리들의 날. 물 오른 가지에 봉오리 터져 나오듯 이날을 앞서 뿌리치는 단 비ㅅ발! 멀리서 찾아온 세계 노련의, 공위 속개의, 그리고 또 스물네 시간 파업에서 깨달은 우리의 힘. ~ <나사는 곳> 밤늦게 들려오는 ..

금수회의록(안국선 대표 신소설)

안국선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573 16 0 1 2016-10-08
<금수회의록>은 융희(隆熙)2년(1908. 2) 황국서적조합 초판본으로 저자의 대표 신소설 작품이다. 여러 동물들을 등장시켜 인간 현실에 대한 사회 부조리 비판 및 풍자, 관리들의 부패상을 폭로하고 외세에 대한 경계, 자주 의식 고취 등을 주제로 하고 있는 우화소설이며 정치소설이다. 8가지 동물들의 등장하여 회의를 통해 사회의 악(惡)을 성토하고 이야기하는 것으로 세상의 상하, 행위론적 책임론, 참과 거짓 등을 놓고 담론하는 것으로 현실비판의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다. <서평> <본문 중에서> 대저 우리들이 거주하여 사는 이 세상은 당초부터 있던 것이 아니라 지극히 거룩하시고 지극히 전능하신 하느님께서 조화로 만드신 것이라. 세계 만물을 창조하신 조화주를 곧..

헌사(오장환 두 번째 시집)

오장환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537 8 0 0 2016-10-09
<헌사(獻詞)>는 저자의 시집 중 처녀작인 「개벽」이후 두 번째 작품이다. 1939년 남만서방(南蠻書房) 초판본으로 80부 한정판으로 발간되었다. 1부 헌사와 2부 황무지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17편을 담고 있다. <서평> <본문 중에서> <할렐루야> 곡성(哭聲)이 들려온다. 인가(人家)에 인가가 모이는 곳에 날다다 떠오르는 달이 오늘도 다시 떠오고 누─런 구름 쳐다보며 망또 입은 사람이 언덕에 올라 중얼거린다. 날개와 같이 불길한 사족수(四足獸)의 날개와 같이 망토는 어둠을 뿌리고 ~ <황무지> 1 황무지에는 거칠은 풀잎이 함부로 엉클어졌다. 번지면 손가락도 베인다는 풀, 그러나 이 따에도 한때는 썩은 과(果..

여운형 연설집

김동환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630 10 0 1 2016-10-05
<여운형 연설집>은 1936년 1월 1일 ‘삼천리’ 잡지 신년 호 부록으로 독립운동가 여운형의 강연 원고 4편을 특집으로 싣고 있다. 1부는 전문학교 신입생 환영사, 2부는 평양축구단 상해 파견에 대한 평양 백선행(白善行)기념대강당에서의 ‘체육과 경기’에 관해서, 3부는 올림픽 출전하는 선수들에 대한 독려와 의지 및 올림픽의 역사, 4부는 이탈리아 전쟁에 대한 열강의 식민지 상황 등을 포함하였다. <서평> <본문 중에서> 우리는 ‘배우는 것’ 그것이 가장 귀한 것입니다. 많이 보고, 많이 들어서, 넓고 깊게 배우고 연마하는 것만이 가장 중대한 일입니다. 우리가 배우는 데에 가장 귀한 것은 눈과 귀입니다. 눈과 귀를 통해서 내 마음의 지식을 보충케 됩니..

신생활론(춘원 이광수 문제작품)

이광수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1,203 10 0 0 2016-10-03
<신생활론>은 매일신보(1918년)에 발표 게재한 장편의 미완성 논문 비평으로 1926년 박문서관에서 모두 5편의 원고를 엮어 출간한 초판본 작품이다. 신생활론(유교, 기독교사상), 부활의 서광, 자녀 중심론(1918), 혼인에 대한 관견(管見) 4편을 포함했는데, 마지막 편 숙명론과 자력론은 포함되지 않았다. 서문에서 <신생활론>은 당시 매일신문지상에 연재하여 꽤 문제를 일으킨 논문으로 유교를 비판하고 기독교(예수교) 및 천도교, 불교를 비평하여 결국 매일신문사로부터 중지 요청으로 연재가 완결되지 못하였다. 이 일은 저자의 네 차례 사건 중 처음 시발점이 된 필화사건이라고 지적하였는데, 신생활론 사건에서 저자는 ‘애비없는 시골 상놈’이 되었으며, 유림(儒林)에서는 사문..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