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정지용 시집(1946년 출간본)

정지용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608 16 0 0 2016-05-30
『정지용 시집(1946년 출간본)』은 ‘건설출판사’ 간행본으로 초판본 그대로 복간한 것이다. 처녀작 첫 시집이며 총 87편의 시와 2편의 산문이 모두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마별 다양하게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판매는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판매 담당하고 이후 1946년 건설출판사에서 다시 재판되었다. 이 책은 이번에 시문학사와 건설출판사본 모두 원본에 가깝도록 복원하여 출간되었다.

육사시집(1946년 초판본)

이육사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677 8 0 0 2016-05-30
『육사시집(1946년 초판본)』은 첫 시집인 ‘유고시집’으로 총 20편을 담고 있으며, 민족적 저항 시인의 투철한 역사의식과 심상이 고스란히 담아있는 유일시집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작품이다. 본 작품은 원본에 가깝도록 복간하였다. <서평> -청포도 중에서- 내 고장 七月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 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밀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 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靑袍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사슴(백석시집)(1936년 최초 초간본)

백석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730 13 0 0 2016-05-26
『사슴(백석시집)(1936년 최초 초간본)』은 1936년 1월 선광인쇄주식회사에서 발간된 것으로 초판본 그대로 복간한 것이다. 처녀작 첫 시집이며 총 4부로 구성되어 모두 33편의 작품들을 담고 있다. <서평> <가즈랑집 중에서> 승냥이가 새끼를 치는 전에는 쇠매  도적이 나타났다는 가즈랑고개 가즈랑집은 고개 밑의 山 넘어 마을서 도야지를 잃는 밤 즘생을 쫓는 깽제미 소리가 무서웁게 들려오는 집 닭 개 즘생을 못놓는 멧도야지와 이웃사춘을 지나는 집 예순이 넘은 아들 없는 가즈랑집 할머니는 중같이 정해서 할머니가 마을을 가면 긴 담배대에 독하다는 막써레기를 멫 대라도 붗이라고 하며 간밤엔 셤돌 아래 승냥이가 왔었다는 이야기 어느메..

진달래꽃(1925년 최초 초간본)

김소월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547 21 0 0 2016-05-24
『진달래꽃(1925년 최초 초간본)』은 1925년 12월 26일(매문사 刊) 한성도서주식회사 판매본(표지 꽃그림)으로 초간본 원본 그대로 복간한 것이다. ‘진달래꽃’의 초간본은 본래 동일한 내용으로 중앙서림(中央書林)본과 한성도서주식회사본 두 가지 판본으로 출간 판매를 하였다. 발행처 매문사(賣文社)는 당시 소월의 스승으로 알려진 김억(金億)이 운영하던 곳으로 그의 영향을 받아 처음 시를 쓰기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 이 작품은 문화재로 등록되었고 127편을 16부로 엮어져 그의 심상을 대표하는 백미의 다수 편 작품들이 고스란히 수록되어 있다. <서평>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조선독립혈투사

강흥수 | 온이퍼브 | 9,000원 구매
0 0 428 10 0 0 2016-05-23
『조선독립혈투사』는 백암(白巖) 박은식(朴殷植)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를 바탕으로 역대 항일독립 투쟁사의 역사와 인물, 사건, 배경 등, 한국 근현대사의 실질적 실화와 관련된 내용을 신문, 잡지, 사기(史記) 등에서 간략히 간추려 적은 것이다. 우리나라 최초 항일 투쟁과 인물을 세부적으로 명시하였으며, 잔혹한 일제 포악함의 역사적 비사와 차마 담아낼 수 없는 잔혹한 민중들의 객관적 자료, 피해 상황이 소개되어있다. 열사이며 운동가들은 무장 투쟁사로 얼룩진 우여곡절의 역사적 활약은 그렇게 3·1 운동의 전후 기점으로 하여 1945년 미주리 선상에서 ‘일본의 항복 조인식’까지 새로운 역사적 시대의 용단으로 마무리되었다. <서평> -내용 중에서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제1시집 유고집)

윤동주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660 54 0 1 2016-05-11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제1시집 유고집)』은 1948년 1월 30일 발간된 최초 초간본으로 윤동주 시인의 ‘유고시집’이다. 서시(序詩) 속에 담긴 31편(3부)으로 구성되었으며 젊었던 청춘을 열정으로 집합한 유훈으로 고스란히 남아 고뇌와 역경이 묻어있는 삶의 거짓 없는 부르짖음이었다. 평범한 청년으로 저항할 수밖에 없었던 삶의 시대상을 반영한 작품으로 가득 차 있으며, 초기의 진한 흔적이 남아있는 초기 원본 작품이다. 전반부는 원래 작품을 영인본으로 담았으며, 후반부는 국한문 혼용하여 원문을 읽기 쉽도록 하여 불편함을 덜었다. 추가로 송한범(몽규)(윤동주의 고종 사촌)이 1935년 1월 1일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콩트’로 당선한 작품 원제 「술가락」도 함께 담았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55년 문고본)

윤동주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846 17 0 1 2016-05-11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55년 문고본)』는 1955년 2월에 발간된 최초 문고판으로 윤동주 시인의 유고시집 중 하나이다. 1955년 증보판 이후에 나온 것으로 90여 편을 담고 있다.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기(後記)는 친구인 정병욱과 윤동주 아우 근식의 형님에 대한 애절함과 비통한 삶의 절심함이 요목조목 적혀있다. 국한문 혼용하여 원문을 읽기 쉽도록 하여 불편함을 덜었으며, 추가로 송한범(몽규)(윤동주의 고종 사촌)이 1935년 1월 1일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콩트’로 당선한 작품 원제 「술가락」도 함께 담았다. <서평> 이 문고본은 1948년 초판본 이후 1955년 증보판에 이어 세 번째 나온 것으로 증보판의 보급판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이다. 일제..

생명의 과실(우리나라 최초 여류 창작시집)

김명순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602 17 0 0 2016-05-03
『생명의 과실(우리나라 최초 여류 창작시집)』은 한성도서(1925)에서 발간한 저자를 대표하는 초판본 ‘최초 여류 창작시집’이다. 시 24편과 수필 4편, 소설 2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당선 데뷔작‘청춘’(1917)지의 단편소설 ‘의심의 소녀’를 포함하고 있다. <서평> - 내용 중에서 저주(咀呪) 길바닥에, 구을르는 사랑아 주린 이의 입에서 굴러 나와 사람 사람의 귀를 흔들었다 ‘사랑’이란 거짓말아. 처녀의 가슴에서 피를 뽑는 아귀야 눈먼 이의 손길에서 부서져 착한 여인들의 한을 지었다 ‘사랑’이란 거짓말아. 내가 미덥지 않은 미덥지 않은 너를 어떤 날은 만나지 말라고 염불한다 속이고 또 속이는 단순한 거짓말아. 주린..

3·1 운동사

삼일정신선양회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399 26 0 0 2016-04-28
『3·1 운동사』는 우리 민족정신의 역사적 발로로 시작된 조선의 일대 독립운동으로 운동 시작에서부터 활동했던 모든 독립선언서 기초와 동지들의 활약상, 학생 등 대표 민족지도자들이 이에 참여하기까지 실제적이고 상세한 배경과 내용, 과정 등을 적고 있다. 또한 이들이 결국 체포되어 법정에서 자기주장을 관철하기까지 세밀한 재판과정과 판결내용을 담고 있으며, 우리 자주성과 국권회복을 표명하고, 민족의 생존권을 위해 조선 독립을 선언하기까지 가쁜 숨을 몰아쉬며 삼천리 방방곡곡에 태극기를 휘날리고 외쳤던 당시 실상을 다시금 고무시켜준다. <서평> - 내용 중에서 단기 4251(1919) 기미 3월 1일 이날을 손병희 선생 이하 33인의 민족 대표가 독립선언서를 세계..

신라의 공예미술

고유섭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650 11 0 3 2016-04-24
『신라의 공예미술』은 우리나라 대표 미술사학자인 저자의 ‘신라 공예 예술품’에 관해서 적은 글이다. 미술사적으로 옛 문화와 고적, 공예품 등 여러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 자료를 발표하였으며, 수준 높은 우리 예술 문화의 사적 가치를 고양한 인물로 일부나마 신라의 공예품에 관해 알기 쉽게 소개한 책이다. <서평> - 내용 중에서 공예(工藝)라는 것은 일반 사회생활의 일상적 실용성에서 필요적으로 목적에 적합하게 빚어 나와 그곳에 자연히 예술성의 발로를 볼 수 있는 것을 이르는 것이니, 자유예술이 천재주의적이요, 개인주의적이요, 사회와 개별성을 띠려는 경향이 있는 데 비해서 이것이야말로 사회적이 결합적이요 조직적인 예술품이다. 무열왕릉비는 세계적으로 보..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