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옥루몽3

최창선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666 6 0 0 2014-09-28
『옥루몽』은 최남선이 운영하던 출판사 ‘신문관’에서 1912년 발간한 것으로 모두 3권으로 구성된 국문 목판 인쇄본으로 고전소설을 개작한 육전소설 작품이며 군담적 성격을 가진 영웅소설로 원본을 그대로 영인하였다. <서평> 당시 유행했던 소설은 이른바 신문관의 출판 역할에서 싼값에 읽을 수 있도록 보급한 ‘육전소설’이라는 여러 고전작품들에서 딱지본이라는 형식을 통해 폭넓은 확장을 하였다. 흔히 신소설을 대표하는 여러 작품들도 많았는데 이중 하나로 상기 작품도 이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지금까지 전해오는 것으로는 몇 가지 편수로 전해오고 있는데 본래는 조선 후기 소설가 남영로 작품으로 전해지고 있다. 장편소설로 모두 45회로 1권은 1~14회, 2권은 15~28회..

임화 시편

임화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714 22 0 2 2014-09-27
『임화 시편』은 해방기 전후 일간지에 기고해 발표했던 수십 편의 시를 모은 것으로 진보적이고 이념적 의식이 반영된 초창기 방황과 고뇌를 표출한 작품들이다. <서평> 작가의 초기 작품으로는 초판시집 ‘현해탄’으로 당시 시대의 지정학적 지명을 통해서 우리나라 젊음의 위기의식을 부각하고 의지적이고 상징적인 현실 상황을 자유시로 엮은 것이었다. 임화는 생전에 여러 편의 시와 평론을 섰으며 우리 문학사에서 하나의 획을 논할 수 있는 우수한 작가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카프의 중추적 활동을 했던 인물로 식민지 시대 질곡의 테두리 속에서 지식인의 욕망과 절규를 솔직하게 분출하고 우리 의식에 대한 독립의지의 패배에서 벗어나려 했었다. 시의 대부분은 이른바 젊은이들에 대..

박명

한용운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782 16 0 2 2014-09-23
『박명(薄命)』은 1938년부터 이듬해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된 몇 편중 하나인 장편으로 한 여인(순영)의 파란만장한 일생을 다룬 것으로, 불교적 색채를 통해 인생의 본질 속에 또 다른 삶의 절망에서 모면하고 조력하려는 인간성 회복을 안심(安心)의 깨달음으로 희원한 작품이다. <서평> 작가는 먼저 서문에서 『나는 내 일생을 통해서 듣고 본 중에 가장 거룩한 한 사람의 여성을 그려볼까 합니다. 대략 이야기의 줄기를 말하면 시골서 자라난 한 사람의 여성이 탕자의 아내가 되어 처음에는 버림을 받았다가, 나중에는 병과 빈곤을 가지고 돌아온 남편을 최후의 일순간까지 순정과 열성으로 받드는 이야기인데, 이러한 여성을 그리는 나는 결코 그 여성을 옛날 열녀 관념으로써 그리려는 ..

어린 희생

이광수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923 7 0 5 2014-09-25
『어린 희생』 은1910년 ‘소년’잡지에 발표되었던 작품으로 작자의 시대적 상황을 그대로 투영한 작품이며 러일전쟁을 배경으로 겪는 한 가정의 비애와 분노, 전쟁의 회한을 개탄하고 절규하는 단편소설 작이다. <서평> 작가 이광수는 우리나라 신문학의 개척자로 초창기 개화기 문학을 통해 문사적 작품을 쓰기 시작했고 이른바 도일 유학의 결과로 형성된 체험과 함께 근대문명을 자연스레 접하게 되면서 ‘무정, 사랑인가 등의 단편과 평론 등을 다수 발표하였다. 이른바 그가 이 작품에도 드러냈듯이 동아시아의 당시 사정을 누구보다도 애를 태우고 고심했던 사실을 여기에서 알 수가 있다. 등장인물의 노인과 아이, 아버지는 모두 이러한 결과물 희생자로 갈등적 복수의 대결로 볼 수 있다...

서울, 100년 전 기억

편집부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594 15 0 0 2014-09-25
『서울, 100년 전 기억』100년 전 일제하 서울 경성은 뿌리 깊은 문화·역사의 변천사와 흥망 과정의 중심지로 지금까지 거기에 담긴 진실과 잊힌 것, 전해오는 사적과 자취의 숨겨진 이야기를 다시금 일깨우고자 제작한 역사이야기 교과서입니다. 위대한 금자탑을 이룬 조상들의 수백 년 역사적 시련에서 현존하지만 흔적도 없이 남모르게 어디론지 감춘 옛날 건축물이나 문화재들을 재조명했습니다. 또한 이에 관련한 당시 사정과 그림삽화들로 함께 희미해진 옛 문화를 찾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른바 파란의 과거사 옛 서울 심장부에 담긴 상징물들에서 멀게만 알고 있던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새롭게 갖게 해줄 것입니다. <서평> 우리나라 역사 중 옛 ‘서울(경성)’을 중심으로..

조선 사진첩

조선총독부 | 온이퍼브 | 10,000원 구매
0 0 1,003 6 1 8 2014-09-17
『조선 사진첩』은 일제하 192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화보집으로 우리나라 전반적인 정치, 문화, 사회의 전반적인 다양한 모습을 사진으로 수록한 책이다. <서평> 서울 경성의 시가로 시작하는 것으로 금강산까지 우리 문화·역사의 건축물, 풍속, 환경의 변천사와 전해오는 사적과 자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두 수백 장의 사진이미지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당신의 통계자료를 함께 넣었는데 인구, 농업, 경제, 교육, 기관의 수치자료들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이에 관련한 당시 사정과 그림 삽화들은 과거 대한민국 실상을 일본인들의 시각에서 과거사 역사적 의미를 새롭게 갖게 해줄 것이며 이를 원본에서 영인한 화보집입니다.

홍길동전

백두용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6,072 5 0 0 2014-09-17
『홍길동전』은 한국 근대문학 초창기 최초 목판본으로 전해 내려오는 홍길동전의 완성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른바 권지단의 한 권 단행본 한장본으로 발간되었으며 홍길동전의 완제본으로 볼 수 있다. 1920년대 나온 것으로 영인본 전자책으로 출간되었다. <서평>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에 나온 것으로 이후에 나온 다른 홍길동전의 초기본으로 볼 수 있다. 본래는 허균의 홍길동전으로 원작을 찾아볼 수 있으나 이것은 당시 고서점을 운영했던 백두용이 새롭게 편저자로 한권 한 장본 단행본으로 발행한 것이다.

교방가요

정형석 | 온이퍼브 | 10,000원 구매
0 0 851 5 0 2 2014-09-17
『교방가요(敎坊歌謠)』는 조선 시대 말기(1865년) 교방(敎坊)에서 불리던 기생의 노래·춤에 대해 기술한 음악과 무용에 관한 책이다. 이 책은 노래, 가사, 시, 전통음악과 기생들의 움직이는 모습을 컬러로 상세하게 그린 그림 삽화를 같이 포함하고 있는 필사본이다. 이 책은 원본을 영인한 것이다. <서평> 과거에는 지방 관청에 속한 기생을 훈련하고 가무 등을 교육하는 교방이라는 시설이 있었다. 이른바 간접적으로 기생의 눈을 통해 본 당시 지방의 문화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우리 전통음악의 통찰력을 제공함은 물론 예술적 가치를 주는 책이다. 책의 전반부는 판소리 조부터 악조 등으로 후반부는 가무 중심으로 엮여 있으며 매우 귀중하고 고유한 전통적 의미가 있는..

Illustrated Chosen

Government-general of Chosen | 온이퍼브 | 10,000원 구매
0 0 585 6 0 0 2014-08-26
『Illustrated Chosen』은 1920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발간된 우리나라 전반적 모습을 사진으로 수록한 도록집으로 40여 개 삽화와 당시 경성의 인구, 농업, 철도, 종교 등 통계자료를 수록하고 있는 자료로 원본 그대로 영인하였다.

Bird children

Gordon, Elizabeth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522 7 0 0 2014-08-26
『Bird children』1912년에 출간된 것으로 다양하고 친숙하고 매력적인 새 종류를 풀 컬러 일러스트 삽화로 담고 있으며, 모두 85종류의 새들과 아이가 함께 동화되어 이야기하는 아름다움을 그린 동화책이다. <서평> 그의 예술의 형태는 다작인 작가로 모두 자연과 하나가 되어 신화 같은 존재에 다채로운 책의 만드는데 특별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림과 표현에서 창조적인 형태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언어를 결합하여 아이들 동심의 세계에서 자연과 상쾌한 느낌이 나도록 85 새 종류를 나열하고 각각의 성격을 설명하고 아이들과 자신의 인생의 작은 장면, 독특한 습관적 행동을 그리고 있다. 그는 서문에서 ‘새들은 또 다른 신의 사랑을 표현한 것으로 삶과..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