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민속학의 정의

송석하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87 8 0 1 2019-08-01
우리의 일상생활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습속, 즉 행사, 의례(儀禮), 금기 등에 대해서는 누구나 무관심한 것이 통례이다. 그 근원을 탐구해보면 신앙과 생활의 변천 모습을 통하여 인류의 보편적 심리 이외에 특수한 민족의 심리상태와 원시 신앙과 사회 상태의 변천을 추측할 수 있다. 아울러 그 영향의 범위를 짐작할 수가 있는 동시에 그 민족의 장래 문화를 몇 부분이라도 예측할 수가 있다.<본문 중에서> <차례> • 서언 • 민속학의 용어 • 결언

고구려 고분과 악기

송석하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42 12 0 1 2019-07-26
고구려의 벽화는 여러 가지 각도로 볼 수 있는데 내가 본 가운데 제일 재미있다고 하고 싶은 것이 있다. 첫째로 그 악기에 관한 것이다. 입구를 폐쇄한 무용총 벽화에도 금(琴)(거문고), 각적(角笛)(뿔피리), 완함(阮咸)* 등이 있었다. 그러나 구로다(黑田) 교수 박사가 조사한 17호 고분벽화는 그 밖에 그 퉁소(簫)나 피리(笛)이었다. <차례> • 고구려 고분과 악기 완함(阮咸) 각적(角笛) 거문고(琴) 퉁소(簫) 피리(笛)

조선의 후생정책

최익한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58 16 0 1 2019-07-27
조선 시대에 와서는 비황진대(備荒賑貸)제도*가 점차 갖추어짐에도 한층 진휼 사업을 권장하였다. 실제로 조선 시대 성군인 세종(世宗)은 즉위 원년에 감사(監司), 수령(守令)의 진휼 행정을 독려하였다. 한 백성이라도 굶어죽는 백성이 나오게 되면 벌을 주어 용서하지 않을 것을 엄격히 지도하였다. 또한, 조선의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비황(備荒)조에 ‘수령이 진휼을 이행치 않고 굶주린 백성을 죽게 한 자, 또는 그것을 숨기고 보고하지 않은 자는 중죄한다’고 하였다.<본문 중에서> <차례> 서문 제1장 진휼(賑恤) 정책 제2장 시식(施食)정책 제3장 견감(蠲減)정책 제4장 진대(賑貸)정책 제5장 경조(輕糶)와 방곡(放穀)정책 제6장 권분(權分) 제7장 ..

약사 신앙과 신라미술

고유섭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259 13 0 1 2019-07-25
12신장(神將)이란 원래 약사불(藥師佛)의 12대원(大願)에 맞서 그를 보호하고 그를 실현하려고 나온 신장(神將)(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곧, 불법을 보호하는 신장을 이름)이다. 동시에 그것은 시간(時間)신이며 방위(方位)신이다. 십이지신장은 주야 12시로서 순서로 옹호하고 있다. 각각 7천에 식구를 데리고 8만4천의 번뇌를 제거하여 8만4천의 보제(菩提)(보리菩提)를 바른 지혜로 진리를 깨달아 얻으려는 것이다. 이러한 십이지신장을 인물 모습으로 만들어 표현할 때 그곳에 십이지(支) 모양을 닮은 동물이 상징적으로 채용되어 있다. 이것은 인도 자체에서 발생한 12개 동물설과 먼저 부합되던 것이다.<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약사 신앙의 도래 제2장 약사불의 ..

구운몽 연구

김태준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312 10 0 1 2019-07-20
구운몽이란 작품을 통해서는 김만중의 시대 또는 조선 색채를 발견하기는 곤란하다. 이 두 가지 특징도 동양적 봉건사회의 일반적인 사상으로서 하필 이 작품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불교로서 색깔이 짙은 동양 각국의 봉건사회는 일찍부터 이러한 세계관으로 따라서 이러한 숙명론으로 침윤되었기 때문에 성진 시대의 행동이 원인이 되어 현실에서 양소유로 되어 태어난 것이다. 이 양소유가 태어날 때 선행을 잘했으므로 극락세계로 간다는 생각을 나오도록 한 것이다. 양소유는 귀족이었다.<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김만중의 생애 제2장 구운몽의 집필 동기 제3장 서포(西浦) 김만중의 조선문학 견해 제4장 구운몽의 줄거리 제5장 구운몽의 사상적 비판

도학자와 연문학

김태준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57 9 0 1 2019-07-21
<도학자(道學者) 연문학(軟文學)> 당시에는 한 번에 70여종의 소설이 흘러들어온 것이다. 특히 수호전(水滸傳)은 조선 고대 문예에 영향을 끼친 일은 크며 허균 같은 인물은 이것을 100번이나 읽고 홍길동전을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자기 집구석에서는 이를 많이 읽으면서 일반에게는 읽지 말라고 권장하였다.<본문 중에서> <차례> 서문 제1장 음본(淫本)의 유행 제2장 통속소설의 유입과 금지령 발문

르네상스와 휴머니즘론

임화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270 9 0 1 2019-07-19
르네상스 휴머니즘은 신(神)의 이념 가운데 자기를 소외한 인간성을 탈환하였다고 해야 할 그 자체가 벌써 보는 대로 아주 훌륭한 세계관상의 투쟁을 반영하고 있을 뿐이다. 르네상스는 아 말들의 의미하는 것보다 훨씬 광범하고 또 위대한 세계관적 전환이었다. 르네상스인에게 교양이 있다는 것은 곧 화폐를 획득할 수 있는 현실적 전제이었다. 새로운 통상로의 개척을 위하여 천문학, 지리학이 생산력의 신장을 위하여 물질의 물리 화학이 부의 축적을 위하여 경제 과학의 상업 도시에 옹호하여 식민지 획득을 위해 군사 과학이 귀족과 시민의 무차별 천명을 위하여 교회와 신의 지배를 타파하기 위해 인문과학의 각기 산 힘이 되었다. <본문 중에서>

고구려 벽화 감상

윤희순 | 온이퍼브 | 2,000원 구매
0 0 282 14 0 1 2019-07-15
용강군(龍岡郡) 안성동(安城洞)에 있는 고분 쌍영총을 보더라도 쌍 기둥과 기둥머리 형식은 멀리 희랍에서 발달한 근원의 서역적인 취향이 있으면서 고구려 독자의 창의력이 발달한 것이다. 고대 문화교류가 미술에 거쳐서 이루어지는 경로를 여기서 입증할 수 있게 된다.<본문 중에서> <차례> • 고구려 벽화 감상 서문 1/2/3/4/5/6 발문

조선 문학의 전통

김태준 | 온이퍼브 | 3,000원 구매
0 0 247 6 0 1 2019-07-15
신라 건국 이전의 민족 추장이 동시에 샤먼적 주술자이었다는 것은 신라에서 임금을 차차웅(次次雄) 또는 자충(慈充) 스승이라는 무당의 칭호와 혼동한 것으로도 알 수 있다. 금일 문헌에는 남아있는 신라 향가는 당시 민요라기보다 좀 더 귀족 사회의 앙양된 노래이다. 그 대부분이 귀족 자제로 된 화랑도와 승려들의 주문이니 풍류가인 것이다. 그런 점은 경주에 남아 있는 고적이 그 찬란하고 자랑하는 예술이 강고내말(強固乃末)(분황사 종을 제작한 인물, 삼국유사), 솔거(率居)(화가)나 김생(金生)(필객) 같은 일련의 노예들의 제작이라는 것과 다를 것이다.<본문 중에서> <차례> • 본문 조선 문학의 전통

장화홍련전 연구

김태준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357 9 0 1 2019-07-17
대체 ‘계모(繼母)’라면 마땅히 ‘악(惡)’의 권화(權化)*처럼 생각하게 된 것은 동양의 봉건적 시대의 가족제도에 덧붙인 필연적 산물이다. 가족제도는 부부를 단위로 한 것이지만, 옛날에는 위에 시부모를 모시고 곁에 누이동생들과 시형제를 거느려 복잡한 가족의 일원이 되었다. 오로지 폭군 같은 남편, 또는 독사 같은 시부모의 중압감에 신음하는 부부로서 ‘아내’의 존재가 있었을 뿐이지 시집살이의 고초가 간단한 것이 아니었다.<본문 중에서> <차례> 제1장 장화홍련전 저작과 작자 제2장 장화홍련전의 줄거리 제3장 박경수(朴慶壽)의 원본과 한글 번역본 제4장 철산(鐵山) 배좌수(裵座首)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