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일본 이데올로기론

토사카 준(戸坂潤)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97 35 0 0 2023-08-04
*저본: 『日本イデオロギー論』(1936) 白揚社 이 책에서 나는 현대 일본의 일본주의와 자유주의를 다양한 시각에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유물론의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 논술에 『일본 이데올로기론(日本イデオロギー論)』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마르크스가 스스로 진리라고 주장하거나 사회의 어려움을 해결한다고 자칭하는 독일의 여러 사상을 비판할 때 이를 『독일 이데올로기』라고 불렀던 것에 착안한 것이다.<‘서’에서> 이 책에서 저자는 일본의 이데올로기가 일본의 역사와 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일본 이데올로기’는 일본의 특수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일본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데올로기에 대한 시각을 제시하고 일본 역사와 문화에서 비롯된..

선의 연구

니시다 키타로(西田幾多郎)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130 44 0 0 2023-10-25
*저본: 『善の研究』(1937) 岩波書店 그는 『善の研究』에서 선(善)을 주관적인 감각이 아니라 객관적인 존재라고 주장했다. 그는 선(善)은 인간의 마음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세계에서도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선(善)은 인간의 마음과 자연과 세계가 하나로 통합되는 순간에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니시다 기타로의 『선의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것은 저자의 철학적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선(善)의 본질에 대한 그의 독창적인 사상과 그 사상이 지닌 깊은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 선은 주관적인 감각이 아니라 객관적인 존재이다. - 선은 인간의 마음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세계에서도 존재한다...

인식론

미키키요시(三木清)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100 10 0 1 2023-07-26
*저본: 『知識哲學』(小山書店)(1942) 언어의 마술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은 모든 과학적 연구의 출발점이다. 그래서 우리는 먼저 인식론이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마술성을 제거해야 한다. 인식론으로 번역된 단어의 원어를 보면 독일어로는 보통 Erkenntnistheorie이고, 영어로는 theory of knowledge라고 한다. 이것을 그리스어에서 구성하여 독일어의 Epistemologie 또 영어의 epistemology라는 단어도 생겨났다. 그런데 이 단어들은 오래된 것이 아니다. Erkenntnistheorie라는 단어는 Ernst Reinhold가 그의 『인간의 인식능력의 이론 및 형이상학』(1832년)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일반적으로 ..

말하지 않는 철학

미키키요시(三木清)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100 17 0 1 2023-07-25
*저본: 『三木清著作集』(제1권)(1946년) 岩波書店 미키 키요시의 고백록, 삶과 사상, 철학!! 내가 지금 시도하려는 철학은 논리적 유희에 익숙한 철학자들이 꿈에도 생각지 못하는 철학이다.(중략) 불안과 초조는 오만한 마음이고, 고요와 평온은 겸손한 마음이다. 선(善)한 영혼은 겸손한 영혼이며, 그리고 선(善)한 영혼만이 선(善)한 일을 이룰 수 있다. 좋은 영혼을 만드는 것, 나아가 좋은 영혼이 되는 것이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일임을 아는 사람은 과거의 삶이나 사상과 감정의 정산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 결코 단편적인 작가를 만들지 않을 것임을 확신할 것이다. 나는 지금 이 두 가지에 대해 아마 틀린 생각이 아닌 것 같으니, 이제부터 나는 대담하고 정직하게 내 일을 ..

철학입문

미키키요시(三木清)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150 24 0 1 2023-07-24
*저본: 『철학입문(哲學入門)』」 岩波新書(1940) 철학 입문은 철학 개론이 아닙니다. 따라서 그것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개론서처럼 철학사에 나타난 여러 가지 학설을 분류하고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도 아니며, 또 자기 철학 체계를 요약하여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철학은 학문으로서, 특히 궁극적 원리에 관한 학문으로서 통일성이 있어야 하므로 이 입문서에도 어떤 통일성, 적어도 어떤 궁극적인 것에 대한 지침이 있어야 한다.(중략) 다시 말해서 철학은 현실 속에서 태어난다. 그리고 그곳이 철학의 본래 출발점이며 철학은 현실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철학이 현실에서 출발한다는 것은 어떤 현실이라는 것을 저 너머에 두고 그것을 연구한다는 뜻이..

인류의 장래

오카아사지로우(丘淺次郎)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91 13 0 0 2023-07-21
*저본: 『近代日本思想大系9』(丘浅次郎集) 筑摩書房(1974) -인류의 장래(人類の將來) 모든 일에 있어서 미래를 예측하기는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예로부터 “눈앞이 어둡다”는 말이 있듯이 다음 순간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미리 알 수 없는 것이 보통이다. 다소 학문적 근거가 있는 일기예보라도 맞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간에서는 맞을 수도 있고 틀리기도 하는 괘, 맞지 않을 수도 있는 괘로 간주하고 있다. 그렇다면 오늘날에 와서 미래 예측은 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이며, 만약 그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반드시 인간 이상의 소위 예언자 같은 사람이어야만 하는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중략) ‘역사는 반복된다’는 속담이 있다. 이는 아마도 예나 ..

독서 편력

미키키요시(三木清) | 온이퍼브 | 4,000원 구매
0 0 105 18 0 1 2023-07-21
*저본: 『現代日本思想大系』33(筑摩書房)(1966) • 독서편력(讀書遍歴) 1~14장 내가 그래도 문예(文藝)라는 것을 비교적 빨리 알게 된 것은 한 다소 무법천지 같은 선생님 덕분이다. 역시 나는 여전히 초등학교 6학년이었을 때 우리 마을에 와서 가르치셨던 다다(多田)라는 선생님이 계셨던 것을 기억합니다. 이 선생님은 호토토기스파(俳句雑誌派)의 하이쿠(俳人)(일본 고유의 시 형식) 작가였던 것 같은데, 교실에서 우리 촌놈들을 붙잡고 자주 하이쿠를 강의하기 시작하더니 급기야는 작문 시간에 학생들에게 하이쿠를 짓게 할 정도로 열성적이었다.(중략) 중학교 시절, 내가 잘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역사였다. 그중에서도 야마지 아이잔(山路愛山)(1917~1865)(역사가..

철학은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

미키키요시(三木清) | 온이퍼브 | 1,500원 구매
0 0 119 17 0 2 2023-07-19
*저본: 『三木清全集』 제1권(岩波書店)(1966) ‘철학은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라는 물음은 내가 자주 접하는 질문이다. 지금 여기 다시 같은 주제가 나에게 주어졌습니다. 그런데 이 물음에 답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만약 이것이 수학이나 자연과학의 경우라면 어떤 것부터 시작하여 어떤 책을 어떤 순서로 공부해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것은 어쩌면 그리 어렵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그것이 철학에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곳에 철학의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서 중에서>

인생론 노트

미키키요시(三木清) | 온이퍼브 | 6,000원 구매
0 0 198 29 0 1 2023-07-18
*저본: 『三木清全集』 제1권(岩波書店)(1966) 이 책은 그 성격상 서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만 간결하게 그 성립에 대해 후술하면 충분하다. 이 노트는 「여행에 대하여(旅について)」의 한 편을 제외하고는 1948년 6월부터 『문학계(文學界)』에 게재되어 온 것이다. 물론 이것으로 끝날 성질의 것이 아니라, 단지 출판사의 희망에 따라 지금까지의 분량을 한 권으로 정리한 것에 불과하다. 이 기회에 나는 『문학계』의 이전 및 현재 편집자인 식바 슌조(式場俊三), 우치다 가쓰미(内田克己), 쇼노 세이이치(庄野誠一) 세 분에게 특별히 감사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후문 중에서>

일본문화의 특수성

토사카준(戸坂潤) | 온이퍼브 | 1,000원 구매
0 0 142 6 0 1 2023-07-17
*저본: 『토사카준전집(戶阪潤全集)』(日本文化の特殊性) 별권 경초서방(勁草書房)(1979년) 일본은 두 가지 서로 다른 문화 계통의 요소가 서로 충돌하거나 공존하는 독특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문화 계통은 동양 문화와 서양 문화입니다. 동양 문화는 유교, 불교, 도교를 중심으로 발전한 문화입니다. 서양 문화는 기독교, 그리스와 로마 문화를 중심으로 발전한 문화입니다. 그리고 이런 사정이 어느덧 정치적 관념적 대립으로까지 확대 강화되고 있는 것이 바로 오늘날 일본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근세의 문화적 조건이 도쿠가(徳川)와 시대 봉건제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상기하지 않을 수 없다. 쇼쿠호 시대(織豊時代)의 상업자..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