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035

그날이 오면

심훈 | 온이퍼브 | 8,000원 구매
0 0 727 29 0 3 2015-01-21
『그날이 오면』은 작가가 죽기 이전 남겨진 원고들을 모아 출판한 유일한 심훈의 대표 ‘유고(遺稿)시·수필집’으로 수십 편의 시와 몇 편의 수필을 싣고 있으며, 둘째 형의 도움으로 1951년 한성도서에서 발간한 것이다. 원본을 그대로 옮겼으면 한글 외에 필요한 어휘는 한자와 병기를 하였고 필요한 것은 주해를 보충하였다. <서평> ‘그날이 오면’중에서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면은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 칠 그날이, 이 목숨이 끊지기 전에 와주기만 하량이면,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의 인경(人磬)을 머리로 드리받아 울리오리다. 두개골(頭蓋骨)은 깨어져 산산(散散)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

조선 여성의 사회적 지위

문일평 | 온이퍼브 | 7,000원 구매
0 0 1,284 16 0 1 2015-01-19
『조선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우리나라 여성 발달사를 통해 그들의 신분과 지위, 위상, 역할, 관습 등 여성의 이면과 역사를 알게 해주는 책이다. 상고 이래로 시대적인 사회적 삶의 모습과 여성사의 변화 과정을 함께 역사학자 시각으로 고찰하였으며, 오래도록 이어져오는 여성관에 대해 여러 가지를 서술한 것으로 간략하나마 과거 속 여성문제를 알게 해주는 교양서이다. <서평> 오늘날 신교육을 받은 조선 여성들치고 이 시기 여명기에 기독교회와 그들이 세운 교회학교 안에서 그러한 진보적 교육을 거치지 않은 사람이 거의 드물었다. 그러므로 기독교회와 그에 포함되어 들어온 서구문명이 조선 여성을 지도하는 데에 있어 얼마나 유리했는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와 관계를 갖지 않..

차 이야기

문일평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803 22 0 0 2015-01-17
『차 이야기』는 우리나라 차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그의 이면과 숨겨진 사실, 옛날부터 전해 오는 차의 발전과정을 알게 해주는 내용으로 역사학자 시각으로 서술한 차의 지난 전철을 간략하나마 알게 해주는 역사교양서이다. <서평> 차가 조선에 들어오기는 신라의 선덕여왕의 재임 기간(632~647)이었다. 당시는 이른바 삼국의 말기로 중국에는 차가 유행하기 시작하던 당나라 초기에 해당하며 지금으로부터 1,300여 년 전의 일이다. 차의 전래가 이미 선덕여왕 때에 있었으나 그의 유행은 이로부터 다시 180여 년이 지난 흥덕왕 때에 대렴(大廉)이 당나라에서 차 종자를 가져다가 왕명으로 지리산에 심은 이후이다. 삼국사기 본기 흥덕왕 3년 조항에 내용을 적어보려 한다. 고려..

조선 과거의 혁명운동

문일평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668 13 0 8 2015-01-09
『조선 과거 혁명운동』은 우리나라 역사의 사화와 당쟁, 전쟁의 일부 역사를 역사학자의 시각으로 보고 냉철하게 기술한 것으로 유사 이래 파란을 일으켰던 역사적 사정을 간략하나마 기술한 역사서이다. <서평> 작가는 1939년에 『호암전집』에서 ‘한미 50년사와 조선문화예술, 사외이문비화’로 나누어 발간하였는데 전반적 정치상황과 문화·역사적 고찰, 역사 배후에 알려지지 않았던 이야기들을 수록하여 정리하였다. 사상적배경과 역사적 관계를 교묘히 정치상에 이용한 이색적인 반역자로 말하면 고금을 통하여 ‘묘청’을 제1인자로 말할 수 있다. 하나의 칼로 문신을 무참히 죽이고 무사의 천하를 만들어 학문을 귀하게 여기고 무술을 천대 시 했으며 당시 제도를 근본적으로 깨트린 통쾌..

담배 이야기

문일평 | 온이퍼브 | 5,000원 구매
0 0 1,682 16 0 11 2015-01-12
『담배 이야기』는 과거 우리나라 담배의 역사 흐름을 어원, 풍속도(예절 등), 시장 상황, 문제점 등을 낱낱이 적은 책으로 담배에 관해 궁금해 하는 갖가지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기술한 교양서이다. <서평> 작가는 1939년에 『호암전집』에서 ‘한미 50년사와 조선문화예술, 사외이문비화’로 나누어 발간하였는데 전반적 정치상황과 문화·역사적 고찰, 역사 배후에 알려지지 않았던 이야기들을 수록하여 정리하였다. 담배 종자가 유럽에 유입되기는 16세기 중엽이었다. 다시 해상교통에 의해 명나라와 일본에 전래되기까지는 16세기 말쯤이었다. 담배가 조선에 처음 들어온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명나라와 일본보다는 이후에 17세기 초인 조선의 제15대 광해..

한설야 | 온이퍼브 | 9,000원 구매
0 0 796 17 0 2 2015-01-06
『탑(塔)』은 1942년 매일신보사에서 출간된 연재소설로 일제강점기 한 청년 ‘우길’을 통해 반봉건적인 세태적 가족사와 일본 세도가 지주와 피지배 하층민 사이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전통사회와 시대적 변혁기의 여성 지위와 식민지하 몰락하는 지배층의 지배적 시련과 구속의 난세에서 해방과 근대적 신여성의 심리적 풍조를 그린 가족사 소설이다. <서평> 이 작품은 한설야의 대표작으로 카프의 대표인물이면서 월북작가로 일제강점기 가족의 수난사를 그린 것으로 우길과 아버지 박 진사, 이순, 정순으로 연결되는 시대적 지주와 피지배 계급 간의 이질적 상관관계를 그리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봉건적 체계 속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박진사, 나약한 여성 이순은 이른바 시대의 신분적..

직녀성(상)

심훈 | 온이퍼브 | 9,000원 구매
0 0 633 19 0 2 2015-01-05
『직녀성』은 일제강점기 조선중앙일보 연재소설로 일련의 주인공 여인 ‘이인숙’과 이에 둘러싼 가족의 모습과 여성의 지위, 가족사, 집안의 내력, 구시대적 인습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심훈의 심도 깊은 비판과 시대적 풍조를 엿볼 수 있는 대표 장편소설이다. <서평> 이 작품은 이전의 과정을 그린 것으로 심훈의 초기 장편으로 일련의 ‘동방의 여인’ 작품과 불사조의 후기작 직녀성(1934)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불사조의 ‘정희’와 직녀성의 ‘인숙’과는 서로 대립을 이루는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직녀성은 그의 사후에 한성도서에서 발간된 것으로 ‘현대조선장편소설전집’ 중 하나이다. 이 소설의 상편 개요에서 언급했듯이 심훈의 사후에 둘째 형 ‘설송(雪松)’이 이를 주선으로 바치..

직녀성(하)

심훈 | 온이퍼브 | 9,000원 구매
0 0 823 16 0 2 2015-01-05
『직녀성』은 일제강점기 조선중앙일보 연재소설로 일련의 주인공 여인 ‘이인숙’과 이에 둘러싼 가족의 모습과 여성의 지위, 가족사, 집안의 내력, 구시대적 인습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심훈의 심도 깊은 비판과 시대적 풍조를 엿볼 수 있는 대표 장편소설이다. <서평> 이 작품은 이전의 과정을 그린 것으로 심훈의 초기 장편으로 일련의 ‘동방의 여인’ 작품과 불사조의 후기작 직녀성(1934)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불사조의 ‘정희’와 직녀성의 ‘인숙’과는 서로 대립을 이루는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직녀성은 그의 사후에 한성도서에서 발간된 것으로 ‘현대조선장편소설전집’ 중 하나이다. 이 소설의 상편 개요에서 언급했듯이 심훈의 사후에 둘째 형 ‘설송(雪松)’이 이를 주선으로 바치..

불사조(상)

심훈 | 온이퍼브 | 9,000원 구매
0 0 536 7 0 1 2014-12-31
『불사조』는 일제하 암담한 생활에서 빚어지는 여인의 질곡 모습을 통해 젊은 지식인의 저항정신과 이를 극복하려는 현실의 시대적 부조리 상황을 묘사한 미완작품이다. <서평> 이 작품은 심훈의 초기 장편으로 일련의 ‘동방의 여인’ 작품과 불사조의 후기작 직녀성(1934)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불사조의 ‘정희’와 직녀성의 ‘인숙’과는 서로 대립을 이루는 주요 인물이다. 부인 이해영은 심훈의 첫 부인으로 이른바 한국사회의 전통적 모델로 작품 속에서 비극적 삶의 등장인물들과 견주어 피력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사조의 계훈과 정희, 직녀성의 봉황과 인숙은 시대적 지식인과 최하층민들의 세태적 고통과 부조리한 현실성, 가족제도의 모순과 구조적 현실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비록 ..

불사조(하)

심훈 | 온이퍼브 | 9,000원 구매
0 0 464 10 0 1 2014-12-31
『불사조』는 일제하 암담한 생활에서 빚어지는 여인의 질곡 모습을 통해 젊은 지식인의 저항정신과 이를 극복하려는 현실의 시대적 부조리 상황을 묘사한 미완작품이다. <서평> 이 작품은 심훈의 초기 장편으로 일련의 ‘동방의 여인’ 작품과 불사조의 후기작 직녀성(1934)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불사조의 ‘정희’와 직녀성의 ‘인숙’과는 서로 대립을 이루는 주요 인물이다. 부인 이해영은 심훈의 첫 부인으로 이른바 한국사회의 전통적 모델로 작품 속에서 비극적 삶의 등장인물들과 견주어 피력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사조의 계훈과 정희, 직녀성의 봉황과 인숙은 시대적 지식인과 최하층민들의 세태적 고통과 부조리한 현실성, 가족제도의 모순과 구조적 현실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비록 ..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